작년 수출 5.9%↓ ‘58년만에 2년 연속 하락’…2년째 교역 1조달러 무산
4분기 수출 2년만에 증가…“올해 미국 등 경기 회복으로 반등 기대”

▲ 경상일보 자료사진

세계 경제 침체, 자동차 파업, 갤럭시노트 7 단종 등의 여파로 우리나라 연간 수출액이 2년 연속 감소했다.
다만 연말 들어 점차 호전되는 모습을 보이면서 올해 수출은 다시 플러스로 올라설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16년 전체 수출액이 4천955억 달러로 전년보다 5.9% 줄었다고 1일 밝혔다.
수출 증가율(전년 대비)은 2014년 2.4%에서 2015년 -8.0%로 떨어진 이후 지난해에도 -5.9%를 기록하며 감소세를 이어갔다.

우리나라 수출이 2년 연속 감소한 것은 1956년 통계 작성 이래 1957~1958년(-9.7%·-25.9%) 이후 58년 만에 처음이다.

연간 수입액은 4천57억 달러로 전년보다 7.1% 줄었다.
이에 따라 2015년에 이어 2016년에도 우리나라의 무역 규모 1조 달러 달성은 무산됐다.
앞서 우리나라는 2011년부터 2014년까지 4년 연속 무역 1조 달러를 기록한 바 있다.

작년 무역수지는 898억 달러 흑자를 기록해 전년의 903억 달러 흑자보다 소폭 감소했다.
2년 연속 수출 감소에도 그나마 다행인 것은 연말 들어 점차 회복세를 나타냈다는 것이다.
지난해 12월 수출은 451억 달러로 전년 같은 달보다 6.4% 증가했다.

월별 증가율은 9월 -5.9%, 10월 -3.2% 등 연달아 마이너스를 기록하다가 11월 2.5%, 12월 6.4%로 반등했다.
수출이 2개월 연속 늘어난 것은 2014년 10월 이후 26개월 만이다.

12월 일평균 수출 증가액은 18억4천만 달러를 기록했고, 증가율은 전월 -1.7%에서 4.2%로 뛰어올랐다.
일평균 수출은 2015년 2월 이후 22개월 만에 증가했다.
수입액은 381억 달러로 전년 같은 달 대비 7.3% 늘었다.

이에 따라 무역수지는 70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59개월 연속 흑자행진을 계속했다.
지난달 수출이 호조를 보인 것은 일반기계, 석유화학, 자동차, 의약품 등 수출이 올해 중 최대 실적을 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의약품은 3억8천만 달러로 사상 최대 수출실적을 냈다.
13대 주력품목의 수출 증가율은 3.3%이었다.

이는 지난해 8월 이후 4개월 만에 증가이자 2014년 7월 이후 2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하지만 한진해운 사태 등으로 인해 선박 수출은 -14.1%로 고전했다.
지역별로는 베트남, 동아시아국가연합(ASEAN), 중국, 일본, 독립국가연합(CIS), 인도 수출 증가가 이어졌고, 유럽연합(EU), 중남미 수출은 증가로 바뀌었다.

중국 수출도 2015년 1월 이후 23개월 만에 2개월 연속 오르면서 2015년 10월 이후 최대 수출실적인 120억 달러를 달성했다.
미국 수출은 반도체, 컴퓨터 부문의 호조에도 차 부품, 무선통신기기, 석유화학 수출이 부진하면서 전월 3.8%에서 -2.3%로 떨어졌다.

우리 기업의 수익성과 직결되는 원화 표시 수출 증가율은 7.3%로 2014년 12월 이후 2년 만에 최대 증가율을 기록했다.
11∼12월 수출 호조로 지난해 4분기 수출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1.9% 늘면서 2014년 4분기 이후 2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됐다.

지난해 분기별 증가율은 1분기 -13.6%, 2분기 -6.7%, 3분기 -5.0%, 4분기 1.9%였다.

올해는 세계경기가 개선되고 주력품목 수요가 호전되면서 수출이 2.9%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디스플레이, 컴퓨터, 석유제품·석유화학 부문에서 5% 이상의 증가세가 기대된다.
수입은 유가 상승 영향으로 원자재 수입 증가 전환, 수출 회복에 따른 수출용 원·부자재 수요도 확대 등으로 7.2% 늘 전망이다.

무역수지는 750억 달러 흑자 달성이 예상된다.
산업부는 “수출 증감률이 지난해 9월 이후 꾸준히 개선되고 일평균 수출이 2015년 2월 이후 22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되는 등 수출이 완연한 회복세를 시현하고 있다”며 “이는 주력품목의 물량·단가 개선과 함께 품목, 시장, 주체 등 수출구조 혁신 노력의 성과가 점차 가시화된 데서 비롯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과 신흥국 중심의 경기 회복에 따른 세계 경제·교역 소폭 성장, 주력품목 단가상승과 수요회복 등으로 올해 수출 전망은 지난해보다 밝은 편이지만,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강화, 중국의 중간재 자급률 제고, 해외생산확대 등 구조적 수출 감소요인 지속으로 인한 하방 위험이 상존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