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민들의 안전에 대한 요구가 높다. 공업도시로서 산업재해를 꽤나 겪어왔음에도 지난해 경험했던 자연재해로 인해 놀란 가슴을 진정시키기는 쉽지 않다. 그 중에서도 지진이 가져다준 공포는 정주의식을 훼손하고도 남음이 있다. 울산 앞바다와 경주에서 시작된 지진이 울산을 강하게 흔들어 놓았고 그 여진이 아직도 수시로 이어지자 ‘울산에 계속 살아야 하나’라는 의구심을 제기하는 시민들이 늘고 있다. 지진방재가 울산시의 올 한해 중요한 과제가 돼야 함은 새삼 강조할 필요도 없다.

국민안전처는 지난해 12월16일 ‘지진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이 대책에는 2020년까지 지진대응체계를 완비하고 2030년까지 지진방재 종합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지진 전담조직 강화와 지진 관련 예산 확대 등 109개의 개선 과제를 담았다. 지진 조기경보, 국민안전교육 강화, 지진관측망 확대, 지진훈련과 학교 안전교육 의무화, 내진설계 의무화 확대 등 전국적으로 지진에 대한 대응태세가 강화된다.

그러나 울산은 이같은 일반적 대책으로는 그 불안을 떨치기가 어렵다. 총 16기의 원전이 울산을 둘러싸고 있을 뿐 아니라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석유화학산업단지가 있기 때문이다. 시민들은 일본 후쿠오카 지진을 통해 이미 보았듯이 지진으로 인한 해일이 원전을 덮칠 경우 어떠한 위험이 닥칠지 모른다는 불안감을 크게 느끼고 있다. 게다가 최근 상영한 ‘판도라’를 본 울산시민들은 마치 울산의 미래를 보는 것이 아닌가해서 매우 불안했다고 한다.

일부러 불안을 키울 필요는 없다. 그러나 위기를 위기로 인식하지 못하면 대책도 세울 수 없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만약 규모 5.0 이상의 지진이 다시 한번 찾아온다면, 그리고 그 방재대책이 부실하게 진행된다면 울산시민들의 정주의식은 하염없이 낮아질 것이 틀림없다. 울산시가 전국 어느 도시보다 강력한 지진방재대책을 수립하는 한편 정부의 지진종합대책에도 각별한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특히 지진방재 특화대학을 5곳 선정해서 대학별로 3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지진방재와 관련한 기초연구를 수행하도록 하겠다는 계획에 대한 울산시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지진안전지대라는 생각에 기초연구가 매우 부실하다. 울산은 우리나라에서 지진 발생 가능성이 가장 높은 지역이라는 전문가들의 주장이 나오고 있으나 과학적이고 구체적인 연구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기초연구가 매우 절실하다. 울산대학교든, 유니스트든 지역에 있는 대학이 특화대학으로 지정돼 정확한 실상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유니스트는 지난 2013년부터 국내에서 유일한 방재특성화국립대학으로 2020년까지 대형재난 위기관리분야 ‘글로벌 톱3 대학’에 진입하겠다는 목표를 세운 바 있다.

정부가 지진방재특화대학을 전국에 5곳 지정한다면 울산에 있는 대학이 최우선적으로 선정돼야 한다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울산시와 대학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