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지역 맞춤형 지진대책을

▲ 공업단지(본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산업수도라 자부하는 울산을 중심으로 부산과 경남, 경주, 포항으로 이어지는 한반도 동남권 연안 벨트에는 국내 제조업 비중의 절반 이상이 몰려있다. 특히 울산 주변에는 원전만해도 16기가 밀집해 있다. 지진이 발생하면 그 피해가 다른 어떤 지역보다 클 수밖에 없다. 지진대책 수립에 있어서 이같은 지역 특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산업단지·원전 등 주요시설
연안 중심으로 분포돼 있고
양산단층 주변 해저에도
케이블·수송관 등 밀집해
해저지진 땐 대형 피해 우려

◇종합대책서 빠진 해저 단층 조사

지난해 7월5일 울산 앞바다에서 발생한 규모 5.0의 지진은 언제든지 해양에서도 대규모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를 자아내기에 충분했다. 하지만 최근 발표한 정부의 지진방재 종합대책에서는 해저 단층 조사가 빠졌다.

 

국민안전처 관계자는 “해저 단층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는데 공감하지만 현재 국내 인력과 장비를 감안하면 해저 단층 보다는 시급한 내륙 단층을 우선적으로 해야한다고 본다”며 “동남권 지역 단층대를 오는 2020년까지 우선조사하고, 단계적으로 전국 단층(약 450여개)을 조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실적인 이유라해도 수백억원을 투입해 장기간 진행될 국내 단층 조사에 해저 단층이 빠진 것은 울산 입장에서는 무척 아쉬운 부분이다.

◇“해저 단층 조사는 필수”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같은 대형 재난사고를 되풀이 하지 않기 위해서는 해저에 존재하는 단층을 조사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기상청과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지원으로 연구를 하고 있는 김한준(한국해양과학기술원) 박사는 ‘고해상 탄성파 탐사를 이용한 한반도 연안의 신기 지진활동 분석’ 연구를 통해 양산단층과 일광단층이 해저의 활성단층과 연결돼 있다고 주장한바 있다. 또 최근 양산단층의 대륙붕 연장과 활동특성에 대한 논문도 발표했다.

김 박사는 본보와의 전화인터뷰를 통해 “음파를 해저로 발사해 영상을 만드는 방식으로 양산단층이 해저의 대륙붕으로 연장돼 제4기(지구의 지질시대 46억년 중 260만년 전부터 지금까지인 4기에 활동한 단층)에 지속적으로 활동했고, 단층 시스템을 이루며 우리나라 주변에 동북동­남남서 방향으로 압출력이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 바다의 경우 비교적 최근에 지각운동을 통해 생성된 것으로 육지보다 바다에서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내다봤다.

우리나라의 경우 주요 산업단지 및 시설들이 연안을 중심으로 분포돼 있는데다, 양산단층 주변 해저에는 해저케이블과 파이프라인 및 수송관 등이 밀집해 있어 재해가 발생하면 피해규모가 타 지역에 비해 클 수밖에 없는 구조다. 해저 단층 조사 결과 없이는 범국가적 지진대책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울산을 비롯한 동남권 지역 차원에서 차후에라도 정부 단층 조사에 해저 단층이 포함되도록 한 목소리를 내야하는 상황이다.

김준호기자 kjh1007@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