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민섭 UNIST 교수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진동수가 고정돼 강한 에너지를 내는 빛’(결맞은 빛)을 만드는 새로운 방법을 발견했다고 12일 밝혔다.

허민섭(사진) 자연과학부 교수와 영국 스트라스클라이드(Strathclyde) 대학의 야로진스키(Jaroszynski) 교수팀은 빛의 진행을 방해하는 ‘컷오프(cut-off)’ 현상이 현대 과학연구에 필수적인 결맞은 빛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결맞은 빛’은 태양빛 등 다양한 진동수를 가진 것과 달리 전자레인지의 ‘마이크로파(microwave)’, 휴대폰의 ‘전자기파’ ‘군사용 레이더(ladar)’처럼 각자 목적에 맞은 하나의 진동수를 가진 빛이다. 결맞은 빛은 하나의 진동수로 움직이는 전류를 만들어 내면 전자기파가 방출되면서 생성된다고 지금까지 알려졌다.

허 교수팀은 이런 통념을 깨고 전류를 컷오프가 나타나는 곳에 두면 결맞은 빛이 생성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마치 깊은 터널 속에 있으면 어떤 주파수는 터널 벽에 막혀 잡히지 않고, 또 다른 주파수는 잡히는 경우와 비슷하다.

연구팀은 “결맞은 전류를 만들기 위한 복잡한 장치를 없앨 수 있으므로 차세대 결맞은 빛 생성 장치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고 했다. 이형중기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