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의심신고는 0건…시·도별 가금수의사 회의 열어 방역 대책

▲ 환경부 영산강유역환경청 직원이 11일 오전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 철새도래지에서 조류 분변을 채취하고 있다. 이곳 야생조류 분변에서 검출된 조류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가 10일 고병원성 'H5N6'형으로 판정돼 방역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연합뉴스

최근 올겨울 들어 처음으로 야생조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진 사례가 나온 제주에서 AI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되는 철새 폐사체가 또 발견됐다.

14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9일 제주시 한경면 용수저수지에서 발견된 청머리오리 폐사체에서 H5N6형 AI 바이러스가 검출됐다. 아직 고병원성 여부는 검사를 진행 중이다.

고병원성으로 최종 확인되면 제주 지역에서 두 번째 야생조류 확진 사례가 된다.

제주도는 용수저수지 청머리오리 폐사체에서 검출된 AI 바이러스가 고병원성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선제적 방역 차원에서 13일 오후 7시부터 폐사체 수거 장소 반경 10㎞ 이내 지역에 가금류 이동통제 조처를 하고 있다.

도는 농가에 대한 긴급 예찰에 나서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한편 용수저수지 출입통제와 인근 지역 농가 방역도 강화하고 반경 3㎞ 이내 소규모 사육농가로부터 가금류를 수매해 도태시킬 방침이다.

이동통제 대상 지역에는 현재 농가 28곳이 닭과 메추리 39만4천마리와 오리 333마리를 사육하고 있다.

앞서 지난 5일 제주 구좌읍 하도리 철새도래지에서 채취한 야생조류 분변에서 제주도 내에서는 처음으로 고병원성 AI 바이러스가 검출된 바 있다.

지난해 11월 16일 농가에서 AI가 처음 발생한 이후 제주도는 두 달 가까이 전국 유일의 ‘AI 청정지대’였지만, 결국 철새에 의해 바이러스가 유입되면서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

특히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제주도 6개 지역 철새도래지에 2만5천여 마리에 달하는 야생조류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돼 이미 바이러스가 야생조류에 광범위하게 퍼졌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전국 지역별로 방역이 취약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시·도별 가금수의사 회의를 개최해 대책도 마련하기로 했다.

아울러 한 명이 농장 2곳 이상을 보유한 경우 각 농장의 축산법 시설 기준 및 소독 설비와 방역기준 준수 여부 등을 우선 점검하라고 각 지자체에 지시했다.

한편, 전날 전국적으로 신규 의심 신고는 한 건도 없었다고 농식품부는 밝혔다.

야생조류도 확진 사례가 새로 나오지 않아 41건(야생조류 25건, 분변 16건)을 유지하고 있다.

이번 AI 사태로 살처분된 가금류는 총 3천184만 마리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