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규철 특검보가 16일 오후 서울 강남구 대치동 특검 기자실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 방침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에게 구속영장을 청구한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이르면 이달 말 또는 내달 초 박근혜 대통령을 대면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수사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것으로 전해졌다.

특검팀 핵심 관계자는 16일 “2월이 되기 전에 주요 의혹 줄기 수사를 정리하고 수사 결과가 구체화하는 단계로 가면 청와대 압수수색에 나서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며 “그 단계에서 박 대통령 대면조사를 해야 하는 상황이 오게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박 특검은 100명에 달하는 수사팀을 네 팀으로 나눠 △삼성그룹 등 대기업의 박근혜 대통령 뇌물 제공 의혹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 연루 의혹이 제기된 문화예술인 ‘블랙리스트 의혹’ △‘비선 실세’ 최순실(61·구속기소)씨 딸 정유라(21)씨의 이화여대 부정입학 의혹 △‘비선 진료’ 등 세월호 7시간 의혹을 수사 중이다.

특검팀, 이달중 줄기 수사 정리
삼성 뇌물의혹·이대 부정입학 등
관계자 줄줄이 구속, 의혹의 정점
오늘 김기춘·조윤선 피의자 조사
의료비리 대상자도 금주중 줄소환

수사결과 구체화땐 靑 압수수색
주요 공간 ‘외과 수술식’ 수색
군사보호시설과 무관한 점 압박
“대통령 대면조사 가능한 한번에”
수사시한 2월28일까지 의식 풀이

이 가운데 삼성 뇌물 의혹, ‘블랙리스트’ 의혹, 이대 부정입학 의혹 수사는 문형표 전 보건복지부 장관, 김종덕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류철균 이화여대 교수, 남궁곤 전 이화여대 입학처장 등이 줄줄이 구속되면서 사실상 의혹의 정점을 향해 치닫고 있는 양상이다.

상대적으로 수사 진척 속도가 늦은 것으로 관측되던 의료 비리 관련 수사도 최근 이병석 전 청와대 주치의 소환을 시작으로 성형외과 의사 김영재씨, 김상만 전 녹십자아이메드병원 원장, ‘주사 아줌마’ 백모씨 등 핵심 의혹 대상자들을 금주중에 줄소환할 방침이다.

▲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이르면 이달 말 또는 내달 초 박근혜 대통령을 대면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수사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것으로 전해졌다. 특검수사가 박 대통령의 뇌물죄 규명쪽으로 바짝 조여가는 형국이다. 연합뉴스

특검팀은 네 갈래 의혹 수사의 정점에 모두 박 대통령의 존재가 어른거리고 있다는 점에서 네 갈래에 걸친 수사 결과가 구체적으로 도출되는 시점에서 청와대를 상대로 ‘원 포인트’ 압수수색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특검팀은 관저내 일부 공간, 의무실, 경호처 등 특검 수사 대상 의혹에 긴밀하게 관련된 주요 공간에 대한 ‘외과 수술식’ 압수수색에 나선다는 내부 방침을 세워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검찰 특별수사본부의 수사 때처럼 청와대가 군사보호 시설임을 이유로 압수수색에 거부할 가능성에 대비, 특검팀은 전·현직 청와대 근무자들의 진술 등을 바탕으로 각 공간 정보를 세밀하게 파악해 압수수색 목표 공간이 군사보호 시설과 무관하다는 점을 내세워 압박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특검팀은 청와대 압수수색 직후 박 대통령을 청와대 또는 안가 등 제3의 장소에서 대면조사를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규철 특검 대변인은 “대통령은 이 사건(삼성 의혹)뿐 아니라 검찰에서 기소된 부분, 특검이 조사하는 부분 등에서 상당 부분 관련돼 있다”며 “이런 부분을 명확하게 조사한 다음에 대면조사를 가능한 한 한 번에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검이 이처럼 박 대통령 조사를 비교적 조기에 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있는 것은 특검의 1차 수사시한이 2월28일이라는 점을 의식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최순실 특검법’에 따라 특검팀은 30일의 추가 수사 기간 연장을 박 대통령에게 요청할 수 있지만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이를 승인해야 한다.

한편 특검은 ‘왕실장’으로 권세를 떨치던 김기춘(78) 전 대통령 비서실장을 17일 소환해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한다. 조윤선(51) 문화체육관광부 장관도 조사를 받는다.

특검이 이들을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와 관련한 피의자 신분이라고 명시한 만큼 사법처리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이번 소환이 눈길을 끄는 것은 김 전 실장이 박근혜 정부에서 막강한 지위와 권한을 지녔던 최고 실세였기 때문이다.

김 전 실장은 현 정부 초기인 2013년 8월부터 작년 2월까지 청와대 2인자이자 ‘대통령의 그림자’로 불리는 비서실장을 지냈다. 박 대통령을 가장 가까이에서 보좌하며 일거수일투족을 지켜봤다.

조 장관은 2014년 6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청와대 정무수석으로 재직하며 블랙리스트 작성에 관여한 의혹을 받는다. 김 전 실장과 조 장관은 블랙리스트 의혹의 ‘윗선’으로 의심받고 있다. 두 사람이 모두 소환되면서 리스트의 실체와 청와대 개입 여부 등을 규명하는 특검 수사가 정점으로 치닫고 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