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이나 로봇으로 상징되는 4차산업혁명을 향한 발걸음이 전 세계적으로 분주하다. 도로에는 무인자동차가 달리고, 하늘에는 드론이 배달을 한다. 또 제조업 현장은 정보통신기술(ICT)과 결합해 컴퓨터와 로봇이 사람 대신 일하는 등 스마트화 되고 있다. 영화·만화·게임 등에서만 존재했던 로봇,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사물인터넷(IoT), 스마트카 등이 속속 현실화 돼 우리 눈앞에 펼쳐지는 등 그 속도가 놀랍다.

3대 주력산업이 오래전부터 성장 정체 및 위기에 직면, 새로운 성장동력이 절실한 울산으로서는 4차산업혁명 시대가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 조선, 자동차, 석유화학 등 주력산업의 침체를 벗어나기 위해 일찌감치 4차산업혁명에 주목, 그 중요성을 강조해 왔지만 현장에서의 발걸음은 더디기만 하다.

시는 최근 4차 산업혁명 선도와 조선업 회생을 초점으로 한 ‘2017년 지역산업진흥계획’을 수립했다. 지역산업 위기요인 및 급변하는 산업경제 여건 분석을 바탕으로 지역산업 발전전략 및 정책방향을 담았다. 계획은 ‘4차산업혁명 선도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전략 목표로 △신전략산업 생태계 조성 △주력산업 창의기술 혁신 △전략적 기업투자 기반 조성 △산업혁명 주도 혁신역량 강화 등 4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또 지역석유화학업계도 저유가와 중국발 경기침체, 공급과잉 등으로 어려움에 처한 울산 석유화학산업의 위기 극복을 위해서도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울산의 미래는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에 어떻게 대비하느냐에 달렸으며 특히 제조업 현장에 직접 적용이 가능한 방안을 미리 준비해야 한다”고 이구동성이다.

그렇지만 구체적인 실천방안이 보이지 않는다. 우물쭈물 하다가는 한 순간 추락할 수 있다는 위기감만 난무할 뿐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서울, 대전, 창원, 제주 등 지자체들이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각종 정책 수립과 함께 산·학·연과의 협력을 통해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대전은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입주해 있는 정부출연 연구원 26곳과 1500여개의 드론 관련 업체 등의 풍부한 인프라를 활용해 선제적 대응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울산은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해서는 아직 걸음마 단계에 머물러 있다. 좀처럼 속도감이 느껴지지 않아 안타깝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