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울산형 인재육성 패러다임 강화

▲ 울산과학대학교 동부캠퍼스 전경.

교육을 발판으로 미래 성장엔진을 구축하기 위해서라도 울산시정과 교육행정의 초점은 ‘울산형 인재육성’강화에 맞춰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울산의 미래 청사진인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기 위해서라도 창의교육을 기반으로 한 인적 네트워크 구성은 필수조건이다.

지역 학생들의 특기와 성적이 뛰어난 학과목을 집중 분석, 산학연 시스템으로 연계해 관련산업의 발전과 우수인재 역외유출을 막고 취업난 해소 등의 효과를 거두는 전략이 필요하다.

울산만의 성장 메커니즘 필요
방과후학교·자유학기제 등 활용
각 분야 전문가들의 노하우 전수
지역학생 수학 강세, 산업 연계를
기초과학분야 집중육성 고민 필요

시정-교육행정의 공동협력
지자체, 전략적 교육 투자 늘리고
지역대학 구조조정 등 체질개선을
진학 등 교육정보 네트워크 확충도
성장동력 오일·원전전문가 육성을

◇초·중·고·대학 장기 교단혁신 프로젝트 만들자

 

특정 학년·학교에 한정하지 말고 초등학교에서부터 중·고교, 대학강단에까지 ‘학력신장 프로젝트’ ‘교단혁신’ ‘창업 및 취업 달성프로젝트’ 등에 대한 16년 중장기 운영시스템을 적용해 보는 것도 울산형 인재육성의 첫 시발점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중학생에 대한 자기개발과 취미 및 특기활동, 기초학력 교습 등 학교전반에 걸친 학습활동을 일선학교에만 맡기는 구조에서 탈피하자는 것이다.

방과후학교나 자유학기제, 체험활동 등의 프로그램을 활용해 대학생 ‘공부비법 전수하기’, 지역 연고 프로구단의 ‘체력증진 비법’, 기업인의 ‘취업성공기’ 등 각 분야의 노하우를 학년별 끊김없이 지속적으로 전개해 울산지역 학생만을 위한 성장 메커니즘을 갖추면 자연스럽게 학교와 학생의 경쟁력이 업그레이드 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논리에서다.

무엇보다 울산 학생들이 ‘수학’ 과목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는 현상을 지역산업으로 연계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2016년 수능에서 울산학생들은 수학에서 전국 3위(B형)·4위(A형)를 기록했다. 국어가 전국 10위권에 밀려나 있는 것을 보면, 상대적으로 수학 성적이 뛰어나 향후 이들 학생들이 타 지역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지역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초과학분야를 집중육성하는 방안을 교육청과 울산시가 함께 고민해야 한다.

◇‘총성없는 교육전쟁’교육시스템도 체질개선

지자체발 교육전쟁이 뜨겁다. 교육인프라 확충과 정책을 수립하고 실현하는데 교육청과 울산시, 각 지자체 모두가 공동협력적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 SOC 등 기간산업도 중요하지만 도시의 정주여건 개선으로 인구증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적 교육투자도 늘려야 하는 게 지자체의 몫이다. 진학 등 교육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는 네트워크가 부족한 부분도 아쉬운 대목이다. 여전히 대학진학 시즌이 되면 컨설팅을 받기 위해 거액의 돈보따리를 들고 타 지역으로 향하는 모습이 연출된다. 대학도 체질이 개선돼야 한다. 울산은 대학 자체가 적어 캠퍼스간 경쟁구도를 갖추지 못한다. 최근 지방대학 간 연합대학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는 만큼 울산도 사범대학, 캠퍼스 유치전략과 별개로 기존 지역 학교의 구조조정을 고민해 봐야 한다.

울산대학교와 2개의 캠퍼스를 갖고 있는 울산과학대학교를 적절히 통폐합하는 전략을 통해 동구지역 과학대 캠퍼스를 새로운 대학시설로 활용하는 발상의 전환도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각종 교육현안이 시정과 교육기관간 이해관계로 쉽게 해결되지 못하는 상황이 결국 교육발전에 걸림돌로 작용되고 있는 만큼 교육에 정치색을 빼야한다. 미래 신성장동력 중 하나인 울산항 동북아오일허브의 싱크탱크 역할을 할 오일전문가, 원전전문인력 육성도 울산이 주도적으로 선도해 나가야 한다.

교육전문가들은 “교사 1명이 잘 가르치면 한 반에 5~6명, 교장 1명이 잘 가르치면 그 학교 50~60명의 학력향상을 이끌 수 있다고 교육인들은 입을 모은다. 여기에 교육청과 지자체의 적극적인 교육지원정책이 뒷받침 된다면 울산은 미래형 교육도시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형중기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