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에 한곳 뿐인 유기동물 독립 보호시설

▲ 반려동물을 기르는 인구가 늘면서 유기동물도 덩달아 증가하고 있지만 보호대책이 제대로 마련되지않고 있다. 사진은 울산시 울주군 온양읍에 위치한 울산유기동물 보호센터.

김동수기자 dskim@ksilbo.co.kr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늘면서 유기동물도 덩달아 증가하고 있다. 울산에는 유기동물을 보호하는 시설이 20곳이나 있지만 19곳은 동물병원이고, 별도의 독립 보호시설은 1곳뿐인 실정이어서 체계적 관리가 어렵다. 울산 유일의 독립 유기동물보호시설인 울산유기동물보호센터를 찾아 유기동물 보호의 현주소를 살펴봤다.

적정 개체 수의 두배 수용
치료비·사료값 등 운영애로
공간 좁아 동물학대 논란도
유기동물 관련 예산 증액
입양률 제고 공고기간 연장
반려동물 등록제 강화 촉구

◇안락사 못 시켜 적정 개체수 배 이상 초과

19일 찾은 울산 울주군 온양읍 울산반려동물보호센터(이하 센터)는 밝고 깨끗하게 단장된 동물병원과는 달리 낡고 냄새나는 기피시설 같은 모습이었다.

센터는 각 구·군이 위탁계약을 체결해 유기동물을 포획, 수용하는 곳이다. 적정 수용개체는 200마리 수준이지만 현재 400여마리가 보호 중이다.

매뉴얼상으로는 포획 후 공고기간 10일이 지나면 일반에 입양이 가능하고 입양이 되지 않는 개체는 안락사 시킬 수 있지만 센터에서는 최대한 안락사를 자제해 좀처럼 적정 수용개체를 유지하기가 힘들다. 길게는 3년 가까이 센터 신세를 지고 있는 개체도 있을 정도다.

결국 수용개체가 늘면서 사료비나 치료비 등이 증가해 센터 운영도 차질을 빚고 있다.

◇동물학대 논란 일기도

수용밀도가 높아질수록 보호 중인 동물은 비위생적인 환경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좁은 공간에 수백 마리가 모여 사는 만큼 전염병 우려가 높고 스트레스도 많이 받아 건강에 지장이 생길 수 있다. 케이지가 부족해 일부는 야외에 묶어놓는 경우도 있어 동물학대 논란이 일기도 한다.

규정대로 안락사시키면 운영 문제는 손쉽게 해결되지만 센터의 개설 취지와 반하기 때문에 고민이 깊다.

조구래 대표는 “단지 예쁘지 않아서, 순종이 아니어서, 나이가 많아서 입양되지 못하는 동물을 어찌 안락사 시키나. 운영이 어려워 사비를 들일 때도 있지만 최대한 안락사는 자제한다”고 밝혔다.

◇입양률 제고에 집중

최선책은 지자체가 직접 보호센터를 운영하는 것이지만 소음·냄새 등의 문제로 적정부지 확보가 어렵고 예산도 많이 들어 현실성이 떨어진다. 시와 각 구·군에서도 센터 직영에 대한 계획은 없다. 하지만 유기동물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만큼 유기동물과 관련한 예산을 더 책정할 필요는 있다는 지적이다.

센터에서는 보호개체 수를 줄이기 위한 차선의 대안은 입양 활성화라고 보고 외부와 연계해 입양의 범위를 넓히고 있다. 해외로 입양되는 대형견들도 종종 있다. 하지만 파양 등의 부작용이 많아 믿을 수 있는 입양자를 선택하다 보니 입양률을 높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한다.

조 대표는 서울시가 지난해부터 시작한 공고기간 연장을 거론했다. “현행 10일인 보호센터 공고 기간을 서울처럼 최소 20일로 늘려야 한다. 공고기간이 늘어날수록 주인을 찾는 확률도 높아진다”며 “한두 달은 물론 수개월 후에 주인을 찾는 경우도 있는 만큼 공고기간 연장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유명무실한 반려동물등록제를 강화할 것도 촉구했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