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형중 사회부 차장

교장, 교사, 장학사에 학부모까지 13통의 전화를 받았다. ‘성년울산, 교육정책 패러다임 바꾸자’라는 타이틀로 3차례의 기획기사를 내보낸지 딱 1주일만이다.

“해외 선진 교육도시를 가봤는데…” 라는 경험담부터 “울산은 000 교육정책이 부족하다” “학교에 상담하러가면 학원 좀 보내라는 말을 듣는데, 공교육 현장에서 선행학습을 부추기니 참 안타깝다”는 등의 조언과 하소연까지 그 내용 또한 다양했다.

어느 교사는 김해시와 교육청이 우수학생 타지역 이탈을 줄이기 위해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역학교 보내기 운동’을 펼쳐 적잖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며 울산도 이런 실체적인 교육정책을 학교현장에 확대·적용해야 한다는 나름의 해법을 제시하기도 했다. 전화기 너머에서 들려오는 이들의 목소리는 한결같이 학교와 학생에 대한 사랑으로 끝맺었다.

교육주체들의 학구열과 교육에 대한 열정 등의 행동 하나하나는 그 지역의 교육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잣대 그 이상이 된다.

다시말해 교육의 변화는 이들 교육주체들의 관심과 실천에서부터 시작돼야 한다는 얘기다. 한때 교육을 하는 사람들은 교육을 그들만의 문제로 생각하며 사회의 다른 영역이 개입하는 것을 극도로 꺼려한다는 농(?)이 오간적이 있었다. 그래서 교육을 떠올리면 ‘폐쇄적’‘엄격’이라는 꼬리표가 따라 붙었었다. 이제 교육은 이들 교육주체들을 필두로 우리사회 모든 구성원들이 함께 고민하고 해결해야할 공통적 과제라는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무한경쟁 시대, 다원화와 가치중심의 시대로 살아가야할 미래사회에서는 더욱 그렇다.

감히 그 첫걸음으로 울산형 교육거버넌스 구축을 제안해 본다. 교육행정만이 교육을 담당한다는 논리는 더 이상 성장을 담보할 수 없다. 성년이 된 도시답게 미래형 교육정책에 대해 자치단체와 교육행정기관간 협력적 파트너 구축은 필수조건이다.

광역시 승격 20주년이 됐는데도 이러한 시스템 미비로 교육현장 곳곳이 지자체와 교육청간 갈등으로 멍들고 있는 현실이 과연 우리 학생과 학교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심각하게 고민해 봐야한다. 일선학교 증축 등 아이들의 학업환경과도 직결되는 학교용지부담금 수십억원을 미납하고 있는 울산시, 학교이전과 관련해 수백억원대의 보상금을 지급하지 않고 있는 지자체. 결국 이런 현상들이 학교교육의 본질을 외면하는 또 다른 원인이 된다.

학생들이 교육을 통해 진정 행복한 삶의 과정을 만들어 가는 역량을 키우는데 긍정적 효과가 아닌 장애물로 작용할 뿐이다.

교육거버넌스를 통해 지자체 등이 참여하는 울산미래교육자문위원회, 울산교육시민회의, 교육행정협의회, 주민참여예산, 시민감사관, 타운홀미팅 등 지역사회의 다양한 목소리를 담을 수 있는 하나의 채널을 갖춰야 한다. 교사는 학습과 인성교육에, 학교는 학생과 교사의 경쟁력 강화에, 교육청은 학교환경 개선과 미래 교육청사진 제시에, 울산시 등 지자체는 교육인프라 확충, 교육정책 입안 등에 주력하는 체제로 역할분담과 공조체제가 필요하다.

현재 울산시교육청 건물 외곽에는 학생성적 상위권과 관련된 내용의 대형 플래카드가 내걸려 있다. 앞으로는 이 곳에 학력향상과 함께 ‘지자체 협력 최우수 교육기관’‘지방교육자치 선도기관’ ‘학생 행복지수 1위’라는 성과물이 휘날리기를 기대해 본다. 이형중 사회부 차장leehj@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