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형석 경제부 기자

본보는 올 들어 신년특집호 ‘4차 산업혁명시대 울산이 선도하자’를 시작으로 이달 초부터 ‘울산에 4차산업 생태계 조성을’이라는 타이틀로 4차산업을 지역의 신성장 산업으로 뿌리내리기 위한 기획시리즈를 연재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ICT), 의료, 교육, 서비스 산업 등 지식 집약적 산업으로 대표되는 4차산업이 제조업 중심으로 산업구조가 형성된 울산으로서는 새로운 기회이자 도시의 체질을 바꿀 수 있는 전환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조선, 자동차, 석유화학 3대 주력산업을 기반으로 성장하면서 대한민국 경제발전의 한 축을 담당해 온 산업수도 울산은 3대 주력산업이 오래전 부터 성장 정체 국면에 직면한데다, 최근 몇 년 새 조선업의 극심한 불황과 믿었던 자동차산업마저 동반 부진에 빠지면서 위기감이 어느 때보다 높게 다가오고 있다. 수출 1위 도시 타이틀은 잊혀진 지 오래고 수출 1000억달러 달성도 이제는 꿈 같은 이야기가 됐다. 한 때 일자리를 찾기 위해 전국에서 근로자들이 모여들던 도시에서 이제는 일자리를 찾아 다른 지역으로 떠나고 있는 탈울산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4차산업 육성이 절실할 이유다.

그러나 지난해 연말부터 두달 가량 취재를 해오면서 느낀 점은 울산에서는 4차산업이 아직은 ‘먼 나라 이야기’ 같다는 것이다. 사실상 4차산업 생태계 자체가 전무하다시피 한 울산에서 4차산업 관련 업체나 종사자들을 찾는 것은 쉽지가 않았고, 지자체나 해당 기관에서도 4차산업과 관련한 정보 및 현황을 얻는 데 한계가 있었다. 무엇보다 취재 과정에서 선뜻 납득이 안되고 아쉬웠던 점은 지역에서 4차산업을 총괄하고 진두지휘할 컨트롤타워가 없다는 부분이다.

울산시에는 현재 창조경제본부 산하 창조경제과가 명목상으로는 4차산업을 총괄하는 부서로 돼 있다. 창조경제과에서도 창조융합담당계가 주무계로 이 곳에서는 3D프린팅과 IoT(사물인터넷), 드론, 의료자동화 등을 전담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분야 외 나머지 4차산업 관련 분야는 담당 부서가 다르거나 없다. 우선 VR(가상현실)은 같은 창조경제과 내에서도 창조경제기획담당계가 소관하고 있고, 스마트십과 자율주행차 등은 산업진흥과에서 관할하고 있다. 드론이나 스마트공장, 빅데이터, AI(인공지능) 등은 시 홈페이지에서 검색을 하더라도 담당 직제가 없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일부 직원들은 4차산업 관련 문의는 아예 울산정보산업진흥원이나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쪽으로 안내하고 있으나 이들 기관 역시 설립된지 얼마 되지 않았거나 모든 부분을 다루지 않아 혼선까지 빚어지고 있다. 지난달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7’(국제전자제품박람회)을 직접 참관했던 김기현 시장은 소위 ‘멘붕’(멘탈 붕괴·정신적 혼란) 상태를 겪으며 적지 않은 충격을 받았다는 게 참석한 관계자의 전언이다. 그만큼 전 세계가 4차산업 혁명시대에 ‘올인’해있고 그 기술과 발전속도는 상상 이상이었기 때문이다.

대전시는 ‘4차 산업혁명특별시’를 목표로 스마트제조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고, 전남 고흥군과 수원시 등도 드론·로봇 분야 전담계 설치 등 4차산업 생태계 조성에 팔을 걷어부치고 있다. 울산시도 더 늦기 전에 하루 빨리 4차산업을 이끌고 진두지휘할 컨트롤타워를 세우고 과감한 규제 개선과 체계적인 지원에 나서야 할 것이다. 차형석 경제부 기자 stevecha@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