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창호 극작가

신라 문무왕 때야. 진정 스님은 청년 때 군역에 종사하는 몸이었지. 집이 가난해서 장가를 갈 도리가 없었어. 복역하는 동안에도 품을 팔아 곡식으로 바꿔 홀어머니를 모셨지. 재산이라고는 다리 부러진 솥 하나뿐이었대. 어느 날 한 스님이 와서 시주를 해달라기에 어머니가 솥을 홀랑 줘버렸지.

어머니가 그 사실을 알리자 아들이 그랬어. 우리같이 가난한 살림에도 절 짓는 데에 시주할 수 있으니 얼마나 좋은가요. 솥이 없다고 밥을 못 해먹겠습니까. 이에 와분(瓦盆)에다 밥을 지어 어머니한테 드리거든. 아들은 의상 법사가 태백산에서 설법하여 사람들을 이롭게 한다는 이야기를 들은 터라 어머니한테 말했지. 어머니를 모신 다음에는 의상 스님의 문하로 들어가겠습니다. 어머니가 대답했어. 부처님의 법은 만나기가 어렵고 시간은 지나간다. 내 죽은 다음이라면 늦어. 살아생전 네가 불도를 아는 것만 하겠느냐. 빨리 가는 게 좋겠구나. 아들이 말했지. 어머니를 홀로 두고 어찌 출가하겠습니까. 어머니가 다시 말했어. 그 때문에 출가를 못한다면 날 지옥에 빠뜨리는 게야. 남의 문간에서 묵고 자더라도 난 천수를 누릴 수 있어. 진심 효도하고 싶다면 그런 말은 마라. 어머니는 곧장 일어나서 쌀자루를 털어 보이거든. 쌀 일곱 되가 남아 있었어. 한 되로 밥을 짓고 또 말했지. 네가 밥 지어 먹으면서 가자면 더디 갈까 두렵다. 여기서 한 되 밥을 먹고 엿 되 쌀은 지니고 가거라. 아들은 흐느껴 울었지. 차마 어머니를 두고 갈 수 없습니다. 게다가 미음거리까지 싸서 간다면 하늘이 뭐라겠습니까. 아들은 못 간다고 세 번 사양했지만 어머니는 네 번을 권했지.

아들은 어머니의 뜻을 어기지 못해 결국 집을 나섰어. 사흘 만에 태백산에 이르러 의상 법사를 뵙고 제자가 되었지. 스승은 제자에게 진정(眞正)이라는 법명을 지어줬고. 3년 후 어머니의 부고가 오자 진정 스님은 가부좌를 하고 선정에 들어가 7일 만에 자리를 털고 일어났대. 불가에서 정진한다는 이유로 불효를 하고 속가에서 효도에 매여 깨우침에서 멀어지는데, 진정사는 그 둘을 다 이루었단다.

장창호 극작가

※ 이 취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