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영남알프스에 케이블카를 설치하겠다는 계획을 처음으로 내놓은 건 2001년이다. 개발방식을 두고 지지부진하면서 13년의 세월을 허비한 다음 재검토를 통해 본격적으로 재추진에 들어가게 된 것은 2013년 영남알프스 산악관광자원화 계획 수립과 함께 공공개발로 전환하면서부터다. 거기에 정부가 2014년 3월 제6차 무역투자진흥회의를 통해 친환경 케이블카 설치를 규제완화차원에서 제시하면서 가속도가 붙었다. 그런데 환경단체의 반발과 환경영향평가라는 새로운 과제를 뛰어넘는데 다시 3년여가 흘러갔고, 다행이랄지 13일 ‘조건부 통과’라는 결실을 얻었다.

울산시는 이날 “행복(영남알프스)케이블카 사업의 첫 단추인 환경영향평가 초안이 사실상 낙동강유역환경청의 협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사실상’이라고 밝힌 이유는 낙동강유역환경청이 검토의견 3가지를 달아 초안 통과를 해주었기 때문이다. 영남알프스에 케이블카를 설치해도 된다는 것만으로도 적잖은 성과로 꼽을 수 있긴 하지만 본안심사 때까지 3가지 검토의견에 대한 해법을 찾기는 결코 쉽지 않다. 어쩌면 더 큰 시험을 앞두게 된 것이나 다름없는 결과다.

우선 첫번째로 검토해야 할 것은 상부주차장 위치를 중심으로 2개 이상의 대안 노선 제시다. 사업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인 노선변경을 감수해야 한다는 말이다. 상부주차장 위치를 약간 옮기는 정도라고 할 수 있지만 현재의 노선을 찾는데 얼마나 오랜 시간이 걸렸던가를 고려하면 쉬운 일은 아니다.

두번째 검토안은 더욱 부담스럽다. 이용객이 케이블카를 타고 갔다가 반드시 케이블카로 되돌아와야 하는 왕복이용을 전제로 한다는 것이다. 이는 기존 탐방로와 연계를 해서는 안된다는 의미다. 순수하게 케이블카만 타려는 이용객이 아닌 등산객에게는 무용지물이 된다. 이미 밀양케이블카에서 경험한 바와 같이 수요감소가 불보듯 뻔하다. 체력이 약한 사람들도 케이블카를 타고 1000m급 산봉우리를 오를 수 있고, 등산애호가들에게는 영남알프스 종주를 하루만에 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케이블카 설치를 통해 산악관광활성화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근본적인 문제제기를 하지 않을 수 없다.

세번째 검토안은 중간지주와 상부정거장 등 식생 훼손이 우려되는 지역을 환경단체 및 전문가와 함께 조사하라는 것이다. 많은 지역주민들이 케이블카 설치를 희망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환경단체와 공동조사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는 것도 만만찮다. 케이블카 설치의 첫 관문이라 할 수 있는 초안 통과가 다행이긴 하지만 ‘반쪽 통과’라 하지 않을 수 없는 이유이다. 얼마나 많은 시간과 노력이 또다시 투입돼야 할지 걱정스럽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