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학천 울산시의회 환경복지위원장

울산시의회의 의원연구모임인 신성장동력연구회는 세계물의 날(3월22일)을 맞아 ‘울산의 물산업과 물관리 정책방향 전문가 간담회를 20일 개최했다. 간담회는 ‘울산의 생활용수 수요관리 정책’, ‘울산의 생활용수 수자원확보 정책’, ‘신성장동력으로서 물산업의 현황과 전망’ 등 3개 주제로 나눠 연구단체 의원과 전문가들이 활발한 토론을 진행했다. 울산시가 물 부족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수요관리와 맑은 물 공급을 위한 울산시 자체의 중장기정책 논의가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현재 울산의 하루 평균 생활용수 수요량은 33~34만t이고, 2020년 수요량은 39만t으로 전망하고 있다. 2020년 1인당 급수량을 290ℓ라고 가정하면 급수인구는 134만5000명 정도다. 그러면 2020년 울산 인구는 최소한 135만명 이상이 되어야 한다. 2017년 2월말 현재 울산시 인구는 외국인을 포함하여 120만명 정도다. 앞으로 매년 5만명 늘어나 3년 동안 15만명의 인구증가를 의미한다. 2020년 1인당 급수량을 300ℓ로 가정하더라도 2020년 울산시 인구는 130만명 이상이 되어야 한다. 현실적으로 달성하기 쉽지 않은 목표다. 따라서 2020년 39만t 생활용수 수요 전망의 적절성은 보다 깊은 검토와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참석자들은 울산의 물 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반드시 정책적으로 우선 검토돼야 할 분야가 물 절약이라는데 의견을 모았다. 울산의 물 위기는 오히려 기회가 될 수도 있다고 지적하였다. 먼저 누수율 낮추고 유수율을 획기적으로 높여 물이 가정에 도달하기 전에 낭비되는 것을 최소화해야 한다. 일반변기를 절수형으로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물 사용량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고 한다. 또한 미국의 절수인증제도, 유럽연합의 가전표준 물 사용 기준 적용으로 절수기술을 이용한 절수기기와 절수형 가전제품을 개발하는 연관산업이 미래의 먹거리 산업이 될 것이며, 울산이 이러한 물 수요관리산업의 선도도시가 가능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연중 강우량이 적은 울산의 지형적 특성을 고려할 때 빗물이용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빗물이용 시스템은 대표적인 친환경·신재생에너지 시스템 중 하나다. 독일 등 유럽 국가들은 소규모 주택 건축부터 빗물활용 시스템을 갖추도록 법제화 돼 있어 빗물을 화장실 용수나 조경 용수 등으로 재사용하는 문화가 보편화 돼 있다. 또 빗물을 활용하면 세제 혜택 등 인센티브도 누릴 수 있다. 중국은 2015년부터 16개 도시에서 16조원을 들여 시범적으로 스펀지 도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스펀지 도시는 빗물을 나중에 활용할 수 있도록 배수체계를 정비해 비를 저장할 수 있는 도시를 말한다. 중국은 2030년까지 약 1경(10,000조)을 투자하여 이 프로젝트를 우리나라 면적의 1/3에 적용할 계획이라고 한다.

우리나라도 물부족 문제와 신재생에너지 보급이 정책 이슈로 부상하면서 빗물 활용 분야가 신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환경부의 물 순환선도도시로 선정된 울산시가 물 산업을 신 성장동력으로 정책적으로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물산업은 21세기를 선도할 블루 골드(Blue Gold) 산업이다. 세계 각국에서는 기업은 물론 국가 차원에서 물산업을 미래성장 동력으로서 투자하고 있다. 울산도 물산업과 물 수요관리를 위해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융합하여 물 산업 경쟁력 강화와 체계적인 통합 물관리의 정책방향 제시가 필요한 시점이다.

‘울산의 생활용수 수자원확보 정책’ 토론에서는 그동안 우리지역에서 검토되었던 다양한 맑은 물 확보 방안들이 논의 되었다. 3만t 내지 5만t 지하댐 건설이 상당한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처음으로 제안되었고, 시민들에게 물 값의 추가적인 부담없는 BTO 방법의 해수담수화사업도 논의 되었으며 수자원공사가 진행하고 있는 사연댐에 쌓인 퇴적량 조사결과가 나오면 댐 준설을 통한 추가 물확보방안도 검토될 필요가 있다. 울산의 안정적인 맑은 물 확보를 위한 다양한 정책이 지속적으로 발굴, 검토돼야하겠지만 우선은 획기적인 물 절약을 위한 수요관리와 빗물이용에 정책적 역량을 모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박학천 울산시의회 환경복지위원장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