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보유국 등 제외 123개국 참여

핵무기의 전면적인 폐기를 목표로 100개국 이상이 참여하는 유엔 핵무기금지협약 협상이 2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개시된다.

지난해 10월 123개 유엔 회원국이 찬성표를 던져 올해 3월부터 개시되는 이 협상은 핵보유국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이 주도하는 핵확산금지조약(NPT)과 달리, 핵무기의 전면적인 폐기를 목표로 하고 있다.

협상 개시 투표 당시 핵보유국인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 러시아, 미국 등은 반대표를 던졌다. 중국, 인도, 파키스탄은 기권했다. 세계 유일의 피폭 국가인 일본조차 핵 군축의 효과적인 진전을 가로막을 것이라는 구실을 대며 반대했다.

핵무기금지조약 협상을 이끄는 국가들은 오스트리아, 아일랜드, 멕시코,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스웨덴 등이다. 수백 개의 비정부기구(NGO)도 이들을 지원하고 있다.

이들은 핵 개발에 몰두하는 북한과 예측 불가능한 미국의 새 행정부 간 갈등이 심해지면서 ‘핵 재앙’의 위협이 커졌다고 우려한다.

마르고트 발스트룀 스웨덴 외무장관은 지난주 유엔에서 “수많은 국가가 지금껏 이 주제를 지배했던 교착 상태를 깨뜨리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핵무기금지협약 지지자들은 지난 1997년 체결된 대인지뢰 금지협약, 집속탄 사용을 금지한 2008년 오슬로 협약 등 성공적인 풀뿌리 운동의 선례를 핵무기금지협약 협상이 따를 수 있다고 본다. 집속탄은 내부에 수많은 소형 폭탄이 들어가 무차별 살상을 불러오는 폭탄을 말한다.

‘핵무기 폐기 국제운동’(ICAN)의 베아트리체 핀 상임이사는 “다극화한 세계에서 많은 나라가 초강대국의 행동 개시를 더는 기다릴 필요가 없다고 느낀다”며 올해 7월에 끝나는 1차 협상까지는 아니더라도 협정이 최종 타결될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고 낙관했다.

주요 강대국은 이번 협상 개시에 대해 발언하지 않았다. 다만 니키 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 대사는 27일 성명을 발표할 예정이다.

한편, 북한은 “미국을 비롯한 핵보유국들이 참가를 거부하고 있는 상황에서 결실이 나올 수 있겠는가 하는 의문이 제기된다”며 협상 불참 입장을 밝혔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