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대교·염포산터널 통행료 조정 의미

▲ 4월1일자로 새로운 요금 체계가 시행되는 울산대교 전경. 경상일보 자료사진

염포산 터널 ‘동결’
시 “동구지역 조선업 불황 감안”
5월대선·지방선거 의식 해석도
근본 해결책 없으면 또다른 갈등

울산대교 ‘인상’
최대 1600원↑…인상폭 과도 분석
원활한 물류수송 건립목적과 달리
중·대형 화물차 부담 커 기피 우려

울산시가 오는 4월1일 울산대교 및 염포산터널 새 요금체계 시행을 불과 이틀 앞두고 조정안을 공개했다. 예상된대로 가장 논란이 컸던 염포산터널 구간이 동결된 가운데 동결 기간을 2년으로 둔 것에 대해 동구지역 정서와 함께 정치적 고려도 작용한 결정이라는 분석이 뒤따른다. 결국 임시방편에 그쳤다는 아쉬움과 함께 염포산터널 동결과 달리 상대적으로 울산대교 통행료 인상폭이 커 물류비용 상승 등 역효과도 우려되고 있다.

◇동구지역 “일단 다행”…“아쉽다” 반응도

오는 4월1일 시행되는 울산대교 및 염포산터널 새 요금체계와 관련해 울산시가 그동안 민간사업자인 하버브릿지와의 협상과정을 밝히진 않았지만 염포산터널 구간의 동결은 어느정도 예상됐다. 울산시가 30일 발표한대로 조선업 불황의 직격탄을 맞고 있는 동구지역의 분위기가 최악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동결 기간이 2년으로 결정된 것에 대해 설왕설래가 이어지고 있다. 지역사회 분위기를 감안했다는 울산시의 공식 입장에 더해 5월 대선과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통행료 재조정안의 최종승인권자인 선출직 시장이 주민들의 거센 반발과 표심을 의식해 염포산터널 구간 요금을 동결한것 아니냐는 시각이 많다.

염포산터널 통행료 인상 반대는 물론 무료화를 주장하던 동구 지역사회는 급한 불을 꺼 일단 안심하는 분위기다.

울산시의 통행료 조정안 발표 후 곧장 동구지역 시·구의원과 주민들로 구성된 염포산터널 무료화 추진위원회는 기자회견을 열고 “울산대교 통행료 역시 동결되지 못한 것이 아쉽지만 염포산터널만이라도 동구 주민들의 바람과 정서를 감안해 동결을 결정한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권명호 동구청장도 “동구지역 주민과 시민사회단체, 시·구의원 등 지역 정치권이 합심해 이뤄낸 소중한 성과”라며 “어려운 결정을 내려 준 김기현 시장에게 동구지역 주민을 대표해 감사의 뜻을 전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근본적인 대책마련이 없다면 매번 통행료 재조정때마다 갈등이 이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렇다고 그때마다 주민반발을 우려해 통행료 동결을 시켜 그 차액분을 시비로 메꾸는 것은 또다른 지역 갈등을 일으킬 소지가 다분하다는 목소리도 크다.

추진위는 “원래 염포산터널은 시 재정사업으로 건설했어야 할 시설물”이라며 “장기적으로 국비 추가확보 등의 노력으로 염포산터널만큼은 무료화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권 청장도 “민자사업의 특수성을 감안하더라도 동구 주민들의 불편 해소를 위해 필요하다면 국비를 들여서라도 주민들이 부담없이 울산대교와 염포산터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향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울산대교 통행료 인상에 화물차 부담 상승

염포산터널 구간 동결로 인해 상대적으로 울산대교 구간들의 인상폭이 컸다는 분석이다.

이번에 울산시가 발표한 재조정된 통행료를 보면 울산대교 전 구간(매암교차로~일산교차로)의 경우 소형차는 1500원에서 1800원, 중형은 2300원에서 2700원, 대형은 3000원에서 3600원으로 인상된다.

당초 울산대교가 동구지역 교통체증 해소와 함께 국가산업단지의 원활한 물류수송을 위해 건설됐다는 점을 고려할 때 중·대형 화물차 운전자들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최만식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조직국장은 “안그래도 경기 침체로 힘든 상황에서 이렇게 큰 폭의 인상은 화물차 운전자들의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향후 중지를 모아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울산시에 따르면 지난해 염포산터널 구간의 일일 중·대형차 통행량은 전체(2만8399대)의 약 1.7% 수준인 483대, 울산대교 구간(매암교차로~예전IC)은 전체(6215대)의 약 6.2%인 380대, 울산대교 전 구간은 전체(1만65대)의 약 4.8%인 488대다.

일각에서는 염포산터널 구간 동결로 대교 이용을 기피하고 터널 통행량이 늘어나는 현상이 더욱 심화될 수도 있다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

김준호기자 kjh1007@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