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학교 안전교육 현주소는 - (상)‘생존’ 타이틀 내건 정규교과 수영교육

▲ 울산지역 초등학생들이 수영장에서 생존수영을 배우고 있다. 경상일보 자료사진

연간10시간 의무교육에도 해난사고 위기대처 못해
수영장 확충과 전문강사·프로그램 등 매뉴얼 필요

각종 해난사고에다 지진·태풍 등의 재난으로 어느때보다 안전에 대한 국민적 요구가 높아지면서 정부의 학생 안전교육 강화방안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울산시교육청도 거액의 예산을 들여 정규 교과과정에 ‘생존’이란 타이틀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가 하면 올해부터 처음으로 지진훈련도 의무화했다. 학생 스스로의 위기대처 능력을 키워나가겠다는 이러한 안전교육 정책이 실제적으로 교육현장에서 어느정도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 점검해본다.

◇年10시간 생존수영교육에도 학생들 “물에도 못 떠요”

교육당국은 지난 2014년 초등학교 3학년에 수영교육을 의무화하고 매년 한 학년씩 확대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런 정책에 의해 울산은 올해 전체 118개 초등학교 3·4학년 학생과 5학년 희망학교에 대해 ‘생존수영’ 교육을 진행한다. 대상만 2만9000여명이다.

대다수 학교들이 내주부터 생존수영을 시작한다. 4학년은 1학기에, 3학년은 2학기에, 5학년은 1·2학기 중 적절히 분산해 교육한다. 교육은 연간 10시간으로, 1회에 2시간 정도씩 수업을 받는다. 그러나 시설인프라와 생존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할 전문인력 등이 여전히 부족하다. 지난해 생존수영 교육을 받은 학생과 학부모들 사이에서는 “많은 걸 기대한 건 아니지만 기본적으로 아이 스스로 물위에 떠 있을 수 있을 정도만 되어도 좋겠다” “위기상황을 모면할 수 있을 정도의 대처능력을 키워줘야 진정한 생존교육이 아니냐”는 반응이 나온다. 수영교육이 확대됐지만 여전히 자유형·배영 같은 영법위주 교육이 주를 이룰 수 밖에 없어 선진국 처럼 재난에 대비한 체계적인 생존교육 커리큘럼이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여기에는 교육을 진행할 수영장 환경도 한 몫한다.

울산에는 생존수영 교육장이 될 수영장이 총 25곳이다. 이중 지자체가 운영하는 곳은 울주군 3곳, 북구 2곳, 남구와 동구 각 1곳 등 7곳이다. 지역에서 유일하게 학교내 수영장을 갖고 있는 범서초까지 제외하면 17곳이 기업 등이 운영하는 민간시설이다. 이 곳은 일반 이용객들과 혼용해 수업을 진행할 수 밖에 없어 교육효과가 반감된다는 지적이다. 중구는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수영장이 없어 100% 민간시설을 활용해야 할 처지다. 수영장 1곳당 초등학생 수가 많게는 1000명 이상되는 경우도 있어 다소‘과밀’상태다.

◇생존교육 표준매뉴얼 개발해야

전문가들은 생존수영 교육이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인프라 확충과 함께 단순한 수영영법 교육을 넘어 위기시 최소 30분에서 1시간 정도는 스스로 물에 떠 있을 수 있는 말 그대로 해난사고 대비 생존교육을 할 수 있는 전문인력 보강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한다.

또 접근성을 높이고 공공 및 민간수영장에서의 학생 전용수업 활용방안을 높이는 것도 효율 극대화 차원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다.

특히 현실적으로 1대1 맞춤식 교육이 어려운 상황을 감안하더라도 신체적으로 차이가 나는 저학년과 고학년에 대해서는 수영장 수심 깊이를 달리해 교육하고 연차별로 상급 프로그램을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울산시교육청은 올해 생존수영 교육운영비로 국비 포함해 11억8900만원을 책정했다. 지난해 2개 학급 기준으로 강사 2명을 배치했는데, 올해는 3명으로 확충해 어느정도 효과를 거둘지 주목된다.

유용상 울산대학교 스포츠과학부 교수는 “조난 당할 시 구조될 때까지 견딜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게 교육의 주 목표가 돼야 한다”면서 “교육시간과 인프라, 전문인력이 확대 및 확충돼야 하며, 사고를 예방할 안전요원도 배치하고 생존수영 지도자 육성 등 전반적인 표준매뉴얼을 개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형중기자 leehj@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