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원전으로부터 안전한 도시 구축을 위해 대책 수립에 나섰다. 한층 강화된 원전안전 및 방사능방재 대책을 적극 추진, 시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서다. 5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될 ‘원전 안전도시 구현 종합계획 수립’ 용역을 통해 지역 내 방사능 탐지 및 분석활동을 강화, 시민이 안심할 수 있는 수준의 실행가능한 방사능방재대책과 현장 맞춤형 주민보호대책이 마련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국내 최대 원전 밀집지역으로 손꼽히는 울산이다. 지역내에는 2기의 원전이 설치돼 있고, 2기가 추가로 건설되고 있다. 또 접경 지역인 부산 기장군과 경북 경주에 12개의 원전이 운영되고 있다. 무려 16개의 원전이 울산권역을 둘러싸고 있는 형국이다. 특히 이들 원전 대부분이 지진을 일으키는 활성단층의 지척에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시민 불안감이 더욱 증폭되고 있다. 9·12 경주지진 이후 더욱 심화되고 있다. 살고 싶은 도시 울산 만들기의 최대 걸림돌로 등장할 정도다.

과업내용은 △울산시 원전 환경분석 △지역 방사능방재 계획 검토 △방사능방재 교육·훈련 시행방안 강구 △방사선비상계획구역 확대에 따른 주민보호 장비·물품 확충·운영방안 강구 △원자력 및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투명성 강화 △지진 등 재난대비 및 방사능 비상대응체계의 실효성 제고 △원자력안전 클러스터 구축 등 인프라 확충 △방사선 이용 피폭 최소화를 위한 안전조치 △종합계획 추진(2018~2022) 소요재원 분석 등 9가지 분야로 진행된다.

세부적으로는 지역 여건을 반영한 원전환경을 분석, 원전 위기관리 대책을 모색하고 국가 원자력안전정보망(환경방사선감시망)과 연계한 광역차원의 원자력 안전정보감시망 구축방안을 연구하게 된다. 또 비상대응체제 구축과 방사능방재대책 재정립, 맞춤형 방재교육 모듈 개발 및 교육생 평가 관리방안을 마련하고 ‘방사선비상계획구역 확대에 따른 광역차원의 장비·물품와 개인방호장비 수요량, 소요 예산 등을 조사한다.

세계 최고 수준의 방사능방재 대책 마련을 위한 밑거름이 되었으면 한다. 시민들의 안전욕구를 최대한 충족시킬 수 있는 수준을 의미한다. 물론 그 전제에는 울산시 전역을 대상으로 한 완벽한 환경방사선 감시체계와 투명한 정보 공개가 깔려 있다. 또 최악의 상황을 고려한 주민보호대책과 실제 훈련을 통해 피드백하는 선순환체계를 확립, 원전안전대책의 실효성을 높이는 방안 등이 담겨 있어야 한다. ‘원전안전도시 울산’을 체감하는 그 날이 하루라도 빨리 왔으면 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