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북한 붕괴 안된다'는 시진핑 설득 못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첫 정상회담이 공동 기자회견이나 공동성명도 없이 막을 내렸다.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이 7일(이하 현지시간) 브리핑을 통해 북핵 문제 등에 대한 정상회담 결과를 간접적으로 전했지만, 두 정상이 직접 육성이나 합의된 문서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에 비해선 격이 떨어진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AP=연합뉴스]

이는 두 정상이 트럼프 대통령 소유의 별장인 마라라고 리조트에서 6일 환영 만찬, 7일 확대정상회담과 실무오찬 등 1박 2일간 수차례 만나 북핵 문제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지만 주목할만한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했음을 시사한다.

통상 정상회담 결과는 기자회견을 통해 전해지며, 미국과 중국 간에도 마찬가지였다.

시진핑 주석이 취임한 이후 버락 오바마 당시 미국 대통령을 처음 만난 2013년 6월(미국 캘리포니아주 랜초미라지) 정상회담, 오바마 대통령이 베이징을 방문해 열린 2014년 11월 정상회담, 시진핑 주석의 워싱턴 방문으로 개최된 2015년 9월 정상회담 등에서 빠짐없이 공동기자회견이 열렸다.

국제회의를 계기로 만나는 약식 회담에서는 기자회견이 생략되는 경우가 있었지만, 이번처럼 1박 2일 간의 정식 회담이 회견도 없이 마무리되는 것은 이례적이다.

김현욱 국립외교원 교수는 "공동기자회견이 없었다는 것은 양국이 다 만족할 수 있는 결과를 끌어낼 수 없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틸러슨 장관이 전한 미중 정상의 북핵 관련 합의 사항도 지금까지와 비교했을 때 이렇다 할 진전이 있는 것은 아니었다.

틸러슨 장관은 "시 주석이 정상회담에서 '북한 핵(프로그램)의 진전이 심각한 단계에 이르렀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시각을 공유했다. 두 정상이 북핵 프로그램 억제를 위해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이행 방안은 담겨있지 않았다.

북한의 핵 위협이 심각한 단계에 이르렀다는 것은 미·중 양국이 이미 오래전부터 공유해 온 사안이다.

김현욱 교수는 "중국은 대북제재를 하더라도 북한이라는 버퍼존(완충지대)이 무너질 정도는 안 된다는 마지노선을 가지고 있다"면서 "미국이 이런 중국의 마지노선을 이번에도 못 무너뜨린 것"이라고 회담 결과를 평가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