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수원 부족 낙동강물 의존…수질은 생존권 차원

▲ 최창환기자

◇울산, 낙동강 물문제에 왜 예민하나?

최근 K-Water 낙동강권역본부가 낙동강 물문제를 논의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낙동강권역 상생협력위원회’를 발족하면서 이해당사자인 울산시를 배제하면서 논란을 빚고 있다. 낙동강 물문제가 울산에 왜 중요한지, 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본다.

청정수원 부족 낙동강물 의존…수질은 생존권 차원

낙동강 물은 ‘청정수원’ 부족이라는 울산의 현실과 직결된다. 울산의 최근 10년간 일평균 상수도 수요량은 33만t(하절기는 최대 38만t)이지만 ‘댐 물’으로 요약되는 청정수원 확보량은 27만t(사연·대곡댐 14만t, 회야댐 13만t)에 그친다. 부족한 수요량 6만t(연평균 1997만t·총 사용원수의 17%)은 낙동강 원수로 충당하고 있다. 이로 인해 시민들은 원수 요금 외에 물이용부담금(t당 170원)으로 연간 최대 100억원을 추가 부담해 왔다.

여기에 문화재청이 암각화 보존방안으로 주장하고 있는 수위조절안이 관철되면 청정수원 부족은 더 심화된다. 사연댐 만수위를 60m에서 52m로 낮출 경우 사연댐 유효저수량(2000만t)의 3분의 2가 사라지고, 3분의 1(668만3000t)도 오염물질 농도가 3배 가량 증가해 사연댐 물 전부를 포기해야 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는 분석도 있다.

대체안으로 정부가 추진한 ‘울산권 맑은물 공급사업’(청도 운문댐에서 하루 7만t을 끌어 오는 방안)도 대구와 구미간의 이해관계로 한 발자국도 나아가지 못하는 ‘대구·경북권 맑은물 공급사업’과 맞물려 실현 가능성이 희박하다. 거기에다 우정혁신도시, 역세권, 강동권 개발 등 지역의 용수공급 수요가 갈수록 늘고 있고, 현재 자체 상수시설을 갖추고 있는 공단지역의 상수도 전환이 이뤄질 경우 수요량은 더욱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낙동강물에 대한 의존율이 더욱 높아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문제는 낙동강 물의 수질이다. 울산시의 분석(2008~2012년) 결과 사연댐 원수는 COD(화학적산소요구량·호소 생활환경기준 항목) 기준 평균 2등급을 유지하고 있지만 낙동강 원수는 3등급 이하였다.

특히 갈수기인 1~3월에 사연댐은 2등급이나 낙동강 원수는 4등급까지 떨어졌다. 더욱이 낙동강 물의 수질이 악화될 수밖에 없는 정책이 속속 추진되고 있는 현실이다. 대구시는 달성군 인근 옛 위천국가산업단지 부지에 대규모 공업지구 개발이 추진되고 있고 부산시는 낙동강 하굿둑 개방을 압박하고 있다. 이들 사업이 진행되면 정수비 상승 등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물부족 문제에 직면한 울산시로선 낙동강 물을 생존권 차원에서 접근해야 하는 상황이다.

최창환기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