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재개 여부를 놓고 논란을 빚어온 새만금사업에 관한 관련부처들의 보고서가 잇따라 공개됐다. 이 보고서들 가운데 우리의 주목을 끄는 것은 단연 해양수산부와 환경부의 보고서로 모두 새만금호의 사업 추진에 암운을 던져 주는 것이다. 해양수산부의 보고서에 따르면 새만금 사업이 강행될 경우 수산물의 산란·생육장소인 갯벌이 사라지고 멸종위기에 처한 희귀 조류의 서식지가 훼손되는 등 하구 생태계가 크게 오염될 우려가 있다. 또 환경부 보고서에 따르면 새만금호의 만경수역은 어떤 보완 대책을 강구하더라도 목표수질을 달성할 수 없을 것으로 분석됐다. 그런데도 농림부는 "환경단체에서 우려하는 수질문제 등은 우리의 국력으로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면서 경제적 가치를 들어 새만금사업 계속 추진의 타당성을 주장하고 있다.  전북 앞바다에 거대한 둑을 쌓아 여의도 면적의 140배에 이르는 1억2천만평의 갯벌을 토지와 담수호로 만든다는 구상의 새만금 간척사업은 91년부터 시작돼 현재까지 1조1천385억원의 공사비 투입으로 방조제 33km중 19.1km의 물막이 공사가 완료됐다. 정부로서는 들인 돈과 시간이 아까울 법도 하다. 그러나 16년간 1조원 가까운 예산이 투입됐던 시화호 담수화 계획도 결국 하루아침에 백지화되지 않았던가.  정부는 새만금사업 재개 여부를 결정짓기 전에 시화호 실패의 경우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시화호 담수화 계획이 시작부터 논란을 빚었던 것처럼 새만금 간척사업또한 환경단체나 전문가들에 의해 일찌감치 "제2의 시화호"가 될 것으로 우려됐었다는 점을 상기해야 한다. 지금이라도 당장 공사를 중지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고 경제적이라는 이들의 말을 흘려 들어서는 안된다. 투자비가 아까워 계속해서 사업을 진행하는 것은 더욱더 깊은 수렁으로 빠지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국토와 환경은 당대를 사는 우리만의 것이 아니므로 더욱 비옥하게 가꾸지는 못할 망정 훼손시켜 후손에게 물려줄 수는 없는 것 아니겠는가. 새만금사업을 중단할 경우 대안으로는 새만금 일대를 유럽의 선진국처럼 생태공원으로 만들고 보존가치가 높은 갯벌은 국가가 수용하는 기회로 활용하는 것도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