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김채규 연구교수 등 연구진
퇴행성관절염 완화 기술·약물 개발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디신’ 발표

 

인류 최대의 꿈인 ‘무병장수’를 실현할 과학적인 방법이 UNIST 연구진에 의해 제시됐다. 우리 몸에 쌓인 노화 세포를 제거해 신체 조직의 재생능력을 높이는 방식이다.

UNIST 자연과학부 화학과 김채규(사진) 연구교수는 국제 연구진과 공동으로 노화세포를 제거해 퇴행성 관절염을 완화시키는 기술과 후보 약물을 개발해 ‘네이처 메디신(Nature Medicine)’ 24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네이처 메디신은 기초 의과학 분야에서 저명한 국제학술지다.

인간을 비롯한 생명체는 모두 늙는다. 이 과정에서 세포도 함께 노화해 신체조직과 장기 등에 쌓인다.

노화세포의 축적은 만성 염증반응이 생기는 환경을 만들고 주변 조직과 세포도 쉽게 손상시킨다. 결국 생체조직의 재생능력이 떨어져 암이나 치매, 당뇨병, 퇴행성 관절염 같은 다양한 퇴행성(노인성) 질환이 유발된다.

김채규 교수는 “축적된 노화세포를 인위적으로 제거하면 몇 가지 퇴행성 질병을 완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보고됐다”며 “이번 연구에서는 퇴행성 관절염에 걸린 생쥐를 이용해 노화세포를 제거하면 생체 재생능력이 회복된다는 걸 밝혀냈다”고 설명했다.

 

우선 연구진은 퇴행성 관절염 환자에서 나온 노화세포를 배양시켰다. 그런 다음 평면이나 입체로 자라난 노화세포에 다양한 약물을 투여해 성능을 평가했다. 그 결과 노화세포를 제거할 수 있는 후보 물질(UBX0101)을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이 물질이 효과가 있는지는 유전자 변형 생쥐로 확인됐다.

이 생쥐는 체내 노화세포가 있으면 빛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연구진은 수술을 통해 생쥐에 퇴행성 관절염을 발생시킨 다음, 후보 물질을 투여하자 노화세포가 제거됐고 생쥐의 퇴행성 관절염도 완화된 것으로 확인됐다.

노령기(2년 정도)의 또 다른 유전자 변형 생쥐에 특정한 화합물(AP20187)을 투여해 노화 세포를 제거했는데, 약물을 투여하지 않은 생쥐보다 건강한 상태를 유지했다.

김 교수는 26일 “향후 임상시험에 약물 안전성과 효율성을 지켜봐야 한다”면서도 “연구결과는 암, 치매, 당뇨병과 같은 다양한 노인성 질환에 적용할 수 있어 인류의 꿈인 ‘무병장수’에 과학적이고 현실적인 방법으로 접근 가능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연구는 김 교수와 미국 존스 홉킨스 의과대학의 전옥희 박사가 주요저자로 참여했다.

책임저자인 존스 홉킨스 의과대학의 제니퍼 엘리세프 교수 외에도 미국 메이요 클리닉의 얀 벤더슨, 미국 벅 연구소의 주디 캠피지 교수가 연구에 함께 참여했다.

이형중기자 leehj@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