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 대통령 선거가 8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다시 ‘깜깜이 선거’로 들어섰다. 박 전 대통령 탄핵으로 인해 갑작스럽게 선거가 치러지면서 후보자들의 공약이 제시되지 않아 유권자들로부터 ‘깜깜이 선거’라는 비판을 받으면서 선거운동에 들어갔다. 그런데 후보자들의 공약, 특히 지역공약이 발표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여론검증이 채 이뤄지기도 전에 후보자들이나 선거운동원들이 유권자들을 만나기도, 표심을 읽기도 어렵게 된, 또다른 ‘깜깜이 선거’가 선거일까지 이어지게 된 것이다.

지난 주말부터 시작된 연휴가 길게는 11일간 이어진다. 특히 대기업이 많은데다 조선업의 불경기까지 겹친 울산지역은 선거일인 9일까지 연휴를 갖는 유권자들이 다른 지역보다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출퇴근 인사를 통한 후보 알리기는 물론 선거운동원들이 유권자들을 만나기도 어려워진 것이다. 게다가 오는 3일부터는 여론조사 결과 공표도 금지된다. 각 대선캠프는 이래저래 표심의 흐름을 짐작하기가 어려워진 ‘깜깜이 선거’를 어떻게 치러낼 지 고심 중이라고 한다.

‘깜깜이 선거’의 가장 심각한 문제는 가짜뉴스 양산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이번 대선과 관련해 지난 25일까지 위법게시글 3만1004건을 적발했다고 밝혔다. 18대 대선에 비해 4배나 증가한 것이다. 이 가운데 허위사실 공표는 2만104건이다. 거의 대부분 SNS를 통해 유포되는 가짜뉴스는 ‘깜깜이 선거’ 기간 더 기승을 부릴 것이 뻔하다.

특히 걱정되는 것은 여론조사와 관련된 가짜뉴스다. 5월3일 이후에 실시된 여론조사는 발표할 수 없도록 돼 있지만 이 기간 동안에도 언론사와 선거캠프 등에서 계속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하고 있는 점을 악용해 포장된 여론조사 결과가 SNS를 통해 퍼져나갈 가능성이 농후하다. 9일 선거일 당일에도 투표가 마감되기 전 출구조사 결과라며 투표를 독려하는 가짜뉴스도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SNS선거활동은 선거 당일까지 가능하다.

가짜뉴스는 일방적 흑색선전과는 달리 언론보도 형식을 취하고 있다. 공식언론을 통한 뉴스처럼 쉽게 신뢰를 얻게 되고 가짜여부에 대한 구분도 쉽지 않다. 미국 선거에서도 가짜뉴스가 선거에 큰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가짜뉴스가 선거결과를 왜곡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SNS상의 가짜뉴스를 걸러내는 장치는 미흡하기 짝이 없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인터넷자율정책기구를 통한 가짜 뉴스 삭제 조치 등 소극적 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다. 때문에 지금으로선 유권자 스스로 가짜뉴스에 현혹되지 않도록 주의하는 수밖에 달리 도리가 없다. 위기의 한국을 구할 대통령을 뽑는 소중한 한 표를 가짜뉴스에 속아 잘못 행사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