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도시 울산’노동의 관점서 접근 필요
인력·장비 부족한 사업장 건강증진 위해
지자체 체력센터, 산재예방에 활용했으면

▲ 김양호 울산대학교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

건강도시란 도시의 물리적, 사회적, 환경적 여건을 창의적이고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가는 가운데 지역사회의 참여 주체들이 상호협력해 개인의 잠재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하면서 시민 전체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는 도시를 말한다(세계보건기구 2004). 즉 도시의 정책 및 의사결정의 주요목표로 시민의 건강과 삶의 질을 가장 상위에 두고 건강에 이로운 정책을 입안하는 도시라고 할 수 있다.

울산은 2015년 6월에 WHO 건강도시 인증을 받았으며, 바로 이어 ‘건강도시 조성에 관한 조례’도 통과시켰다. 작년에는 제10회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 정기총회도 울산에서 개최했고, 올해에는 다양한 건강도시 시범사업도 계획돼 있다. 그러나 ‘건강도시 울산’ 활동에서 아쉬운 점은 우선 ‘노동’이라는 관점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즉 산업수도이자 취업자가 울산시민의 약 반을 차지하는 노동자 도시인 울산에서 건강도시를 이야기하면서 노동의 관점에서 어떻게 건강을 보아야 할 것이고, 건강을 증진시키려면 사업장과 어떻게 협업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의식이 적다는 것이다.

우선 안전하지 않은 노동은 노동자의 건강과 안전을 크게 위협할 수 있다. 산업재해현황에 의하면 전국적으로 2015년도에 4일 이상 요양을 요하는 재해자가 총 9만129명 발생하였고, 재해율은 0.50%이었다, 업무상 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955명으로 노동자 1만명당 0.53명이었다. 업무상 질병자는 7919명이었다. 울산의 2015년도 산재발생률은 전국 평균보다 높고, 산재사고사망만인율은 0.76으로 4번째로 높았다. 업무상 질병자는 전국 16개 행정구역 중 2번째로 많았다. 그러므로 특히 울산에서는 사업장에서 안전한 노동을 확보하여 노동자의 건강과 안전을 담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울산시는 고용노동부와 협력해 산재를 줄이는데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고, 이것이 건강도시로 가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

둘째, 울산시민의 약 반을 차지하는 취업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은 울산시민 전체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 건강을 해치는 대표적인 만성질환의 하나인 뇌졸중 및 심혈관질환은 장기간에 걸쳐서 서서히 생기는 것이 특성이다. 즉 젊은 시절부터 그 질환이 발생할 단초가 이미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직장 생활을 시작하는 때부터 생활습관개선을 중심으로하는 건강증진운동을 적극적으로 벌여야한다. 노동자의 생활습관은 사업장의 분위기로부터 영향을 받는 수가 많으므로 개인적인 노력은 물론 사업장 단위의 건강증진운동을 벌이는 것이 효과적이다.

울산 대부분의 사업장, 특히 중소규모사업장에서는 인력 및 장비가 부족해 적극적으로 사업장 건강증진활동을 펼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지역사회 차원에서 지역사회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사업장 노동자들의 뇌심혈관질환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현재 건강증진과 관련된 울산지역사회 자원에는 보건소, 정신보건센터, 건강보험공단의 건강증진센터, 고용노동부의 근로자건강센터 및 안전보건공단, 지자체가 운영하는 체육시설, 국민체육진흥공단의 체력인증센터(국민체력100 사업) 등이 있으므로 지자체가 이들 지역사회 자원과 협업하여 사업장 종사자들의 뇌심혈관질환예방 지원에 나서야 한다. 노동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은 울산시민전체의 건강수준을 향상시키는 효율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지자체내의 여러 지역사회 건강자원과 협업해 산재를 줄이고 사업장 건강증진활동에 좀 더 관심을 갖는 것이야말로 울산시민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건강도시 울산’을 담보하는 지름길이다.

김양호 울산대학교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