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끝)해양플랜트연구원 설립

문재인 정부 ‘울산공약 1호’
5천억원 투입 10만㎡로 조성
사업경제·타당성 모두 충족
국정과제 우선반영 기대감

1990년대 말 외환위기도 거뜬히 넘겼던 조선산업의 메카 울산이 극심한 조선산업 불황에 대기업은 물론 지역 중소기업들까지 심각한 타격을 입고 있다.

굳건히 지키던 세계 1위 자리마자 빠앗기는 전례없던 위기에 처한 조선업 재도약의 해법은 한국 조선산업의 중심인 울산에 한국조선해양플랜트연구원을 설립하는 것이다.

대선당시 문 대통령은 연구원 설립의 당위성과 경제성에 공감, 한국조선해양플랜트연구원 설립을 ‘울산공약 1호’로 내놓으면서 이 사업은 큰 탄력을 받게 됐다.

세계 조선업계는 해양플랜트를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해양플랜트 분야에서 중국은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상대가 아니지만, 자국의 풍부한 유전과 가스전, 자금을 무기로 이미 한국의 턱밑까지 쫓아왔다.

향후 5~10년 내 중국이 해양플랜트 시장에서 세계 1위 차지가 분명하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1990년대 조선업 구조조정 실패로 고전을 면치 못하던 일본도 정부 지원을 등에 업고 재기에 성공, 해양플랜트 기술 개발과 함께 시장 장악에 집중하고 있다.

싱가포르는 세계각국의 해양심층수 개발관심 증가에 따른 해양플랜트 시장 성장을 예상하고 기존 상선 위주의 산업구조를 해양플랜트 중심으로 전환해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했음에도 우리나라는 전세계 시장 개편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정부와 기업들이 해양플랜트 분야를 조선업 위기를 불러온 ‘원흉’으로 치부하고 관심밖으로 밀어내면서 국내 연구개발은 이미 뒤쳐졌고, 한국의 강점인 숙련된 인력마저도 중국 등 다른 국가에 빼앗기는 추세다. 그나마 있는 연구기관들이 지역 곳곳에 분산돼 시너지를 내지 못하면서 최악의 경우 세계 4위권으로 밀려날 수 있다는 암울한 전망이 나온다.

이에 따라 울산시가 조선업 부활의 열쇠로 들고 나온 전략이 한국조선해양플랜트연구원 설립이다. 국가차원에서 종합적인 연구와 기술방향을 제시하는 컨트롤 타워를 구축해 중국, 일본, 싱가포르 등을 따돌리고 조선강국으로의 명성을 견고히 하겠다는 것이다.

연구원은 총 5000억원(국비 3500억원·시비 500억원)이 투입되는 사업으로 규모는 10만㎡다.

기능은 △조선해양플랜트산업 정책 및 제도 연구 △전국 연구기관 네트워크 구축 △우수기술보유 전문경력인 활용 기술교육 및 재취업·재직자 교육 △조선3사 기술 공유 및 집적화를 통한 설계기술 세계 최고화 △조선해양플랜트 원천기술개발과 응용 및 실용화 연구 △해외시장 개척 로드맵 마련 및 국내 사업 다각화 지원 △ICT기반 플로팅 선박연구, 해양플랜트해체·개조 산업연구 등이 포함돼 있다.

연구원의 사업경제성과 정책적 타당성 부분도 모두 충족했다. 울산발전연구원의 타당성 분석결과 비용대비 편익(B/C)값은 1.126, 내부수익률은 10.02%로 나타났다.

생산유발효과 9306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2914억, 취업유발효과 4128명으로 분석됐다. 좁게는 울산, 넓게는 우리나라에서 조선업 부활이라는 희망을 안고 버티고 있는 울산시민과 기업들을 위해 한국조선해양플랜트연구원 설립이 국정과제에 우선 반영될 수 있도록 새정부의 배려가 요구된다.

최창환기자 cchoi@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