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전남도청 부착·광주시 기증 등 관리방안도 검토

▲ 왼쪽 사진은 1980년 5·18 당시 전남도청 현판이 걸려 있는 모습.(5·18 민주화운동 기록관 제공). 오른쪽 사진은 현재 전남도청 5층 기록관에 보관 중인 전남도청 현판의 모습. '청'자 옆에 총탄 자국으로 추정되는 구멍이 뚫려있다.(우승희 전남도의원 제공)

전남도가 5·18 민주화운동 당시 총탄으로 구멍이 뚫린 것으로 보이는 옛 전남도청 현판을 감정 의뢰하기로 했다.

광주 동구 금남로에 있는 옛 전남도청에 원형대로 다시 부착하거나 전남도 또는 5·18 관련 기관이 기록물로 보관하는 등 관리방안 검토에도 착수했다.

25일 전남도에 따르면 1980년 5·18 당시 전남도청(광주 동구 금남로) 현판은 2005년 10월 도청이 전남 무안으로 옮길 당시 떼어져 현재 관리번호 ‘행정 박물 2016-122’ 공공기록물로 관리 중이다.

무안에 있는 전남도청 5층 기록관에 보관 중이다.

전남도는 총탄 자국으로 추정되는 구멍 등 역사적 가치가 있다고 보고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에 감정을 의뢰할 방침이다.

전남도의회 우승희 의원은 최근 도정질문에서 “현판 복원은 옛 전남도청 현장을 복원하는 상징적 조치가 될 것”이라며 현판을 옛 전남도청 정문으로 옮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남도는 우 의원의 제안 취지에 공감하면서도 훼손 우려 등에도 대비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전남도는 옛 전남도청에 원본 또는 모형을 부착할지와 함께 광주시나 5·18 기록관에 기증하는 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5·18 기록관에도 전남도청 현판이 전시됐지만 5·18 당시 도청에 붙어있던 것은 아니라고 전남도는 전했다.

기록관에 전시된 현판은 옛 전남도청 터에 들어선 아시아 문화전당 공사 중 발견됐다.

역사적 사료인데도 고물상에 처분될 뻔했다는 논란이 일기도 했다.

전남도 관계자는 “5·18 당시 진본 현판은 도청에 현재 보관 중”이라며 “기록관에 전시된 현판은 5·18 발생 훨씬 전에 사용됐거나 영화촬영 소품일 수도 있어 보여 그 출처나 사용처를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