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방노동위원회가 25일 본격 업무에 돌입했다. 공익위원 40명, 근로자 위원 30명, 사용자 위원 30명 등은 임명절차를 진행중으로 완전한 모습을 갖추지는 못했지만 우선 위원장을 포함한 9명의 직원이 첫 걸음을 뗐다. 대기업 위주의 산업구조와 이에 따른 특수한 노사관계 등 울산지역 특성을 감안, 노사간 권리분쟁을 신속하게 조정하고 노동행정 효율성을 높이는데 주력하게 된다. 울산고용노동지청과의 조화를 통해 바람직한 노사관계를 새롭게 정립, 노사 상생 문화를 구축하는 지렛대가 되었으면 한다.

지금 울산의 최대 노동 현안은 갈수록 꼬여가는 현대중공업의 노사관계 개선일 것이다. 1년이 넘도록 지속된 2016년도 임단협 교섭이 조선 위기에 따른 구조조정 등의 현안과 겹치면서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노사의 첨예한 대립으로 향후 전망도 불투명한 상태다. 급기야는 현대중공업 노조간부 2명이 25일 2016년 임금과 단체협약 교섭의 조속한 타결을 촉구하며 울산시의회 옥상에서 농성에 들어갔다. 앞서 백형록 노조위원장도 지난 19일부터 울산 본사 노조사무실 앞에서 단식 농성에 들어갔다. 울산시와 시의회에 현대중공업 임단협의 조속한 타결을 위해 중재에 나설 것과 회사의 책임있는 협상 및 구조조정 중단을 촉구하기 위해서다.

장기파업 등으로 지난해 큰 어려움을 겪었던 현대자동차도 만만찮다. 자동차산업의 경영환경과 최근 정부 정책 등 달라진 노동환경이 변수로 작용, 올해 임금·단체협상도 순탄치만은 않을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현대차 노조는 올해 △기본급 5만4883원 인상 △성과급 전년도 순이익의 30% 지급 △4차 산업혁명 및 자동차산업발전에 따른 고용보장 합의서 체결 등을 요구하고 있다. 또 6월말 예정된 민주노총 총파업, 최저임금 결정, 비정규직 보호 문제 등도 지역내 노사관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한 마디로 바람잘 날 없는 날이 계속 이어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울산지방노동위원회의 역할이 참으로 중요한 시점이다. 물론 바람직한 노사관계는 노사가 자율적으로 대화를 통해 문제를 풀어가는 것이 가장 이상적일 것이다. 그렇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울산 노사관계의 바로미터라 할 수 있는 현대중공업이나 현대자동차 모두 자율적으로 문제를 풀어가기에는 노사간 간극이 너무 크기 때문이다. 노사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노사간 자율적 해결을 유도·중재하는 마중물 역할이 절실한 것이다. 한 발 더 나아가 신규 일자리 창출과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위해서는 대기업 노조의 고통분담이 요구되는 만큼 이번 기회를 통해 울산지방노동위원회가 앞장 서 울산형 노사정 협치 모델의 가능성을 타진했으면 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