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교체 후 존폐위기 고조...전국 18개 센터 통폐합 검토

▲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박근혜 정부가 내세웠던 창조경제 핵심 사업인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존폐 등 향후 향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사진은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전경.

정권교체 후 존폐위기 고조
전국 18개 센터 통폐합 검토
업무관할 부처도 이관 전망
현대중공업 지원 기대 못해
기능 축소될 가능성 높아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 핵심인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존폐의 기로에 놓이면서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의 운명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대기업과 제조업 중심의 울산 산업구조 하에 청년창업 활성화 등 새 정부의 일자리 창출 정책 기조와 맞물려 부분적 개편이 있더라도 그대로 존치될 것이라는 조심스런 전망은 나오고 있지만, 기능과 통·폐합 등 어떠한 형태로든 변화는 불가피하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울산경제 재도약 거점 돼야”

문재인 정부 출범이후 울산형 창조경제의 혁신기반인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의 운명은 불투명하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로 ‘창조경제’가 4대강사업 등과 함께 적폐대상으로 몰리고 있는데다 문재인 정부의 공약 중 하나였던 중소벤처기업부(현 중소기업청) 신설이 가시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단 문재인 정부는 기존 창조센터를 없애기 보다는 ‘창업 허브’로 개편하는 한편 지역별 18개 센터를 통폐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부처도 현재 미래부 소관에서 신설되는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될 것으로 전망이다.

실제로 중소기업청은 최근 울산센터 등 전국의 창조센터에 업무 현황 등을 질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되면 첨단 조선과 로봇 의료산업 등을 육성해 창조경제의 거점 역할을 할 목적으로 출범한 울산창조센터도 통폐합 대상에서 자유롭지 못할 것이라는 관측이 높다. 울산센터는 그 동안 청년창업 활성화 등을 꾀하며 신산업, 신기술 분야의 벤처·중소기업을 발굴하는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도 했으나 조선해양플랜트산업의 재도약 지원이라는 당초 취지를 살리지는 못해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설령 통폐합 대상이 되지 않더라도 그 기능이 축소될 가능성이 크다. 또 조선업 불황에 따른 경영난으로 대규모 구조조정과 분사 등을 실시한 현대중공업의 전폭적인 지원도 기대하기 힘들다는 점도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권영해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장은 “대한민국 산업수도 울산은 대기업 주도의 경제발전이 한계에 이르고 있고 대기업에 의한 고용확대의 정체 등으로 청년실업 증가와 인구감소라는 위기에 처해 있다”며 “이러한 가운데 창조센터의 설립 이후 최근 창업열기가 살아나고 있는 등 가시적 효과가 나타나고 있어 다른 곳은 몰라도 울산센터는 반드시 유지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울산형 창조경제’ 혁신기반 구축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는 ‘창조마루’와 ‘융합마루’ 등 1828㎡(554평) 규모로 울산에 조선해양플랜트산업의 재도약과 의료서비스산업 육성의 거점을 목표로 2015년 7월 문을 열었다. 조선해양플랜트산업을 비롯해 울산의 강점과 세계 최대 조선기업인 현대중공업의 역량을 결합해 △조선해양플랜트산업의 재도약 지원 △첨단 의료자동화 新산업 육성 △민간 창업보육기관과 혁신센터 간 플랫폼 연계 △지역특화 3D 프린팅 산업 육성 등의 사업을 추진중이다.

지난해 7월 출범 1주년 기념행사에선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는 대·중소 협업 생태계 조성을 통해 창업보육 29개 업체, 중소기업 지원 101개 업체, 투자유치 166억원 등의 실적을 올리는 등 울산을 조선해양 및 의료자동화 신산업 육성 거점으로 도약시켰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난해까지 92개사 창업 보육을 비롯해 137건의 중소기업 혁신 지원, 244억원의 투자유치, 720건의 법률·금융·특허 원스톱 서비스 제공 등을 했다. 또 가족기업 가운데 케이랩스 등 5개 기업은 미래부 주관 ICT 유망기업에 선정되기도 했다.

지역의 경제계 관계자는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순기능을 한 점도 있지만 출범 취지와는 다르게 창업·보육에 치우치고 일부 기관들과 기능이 중첩돼 결국 어떠한 형태로든 센터 운영 방식과 기능적인 부분들에 있어서 대대적인 개편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