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26일 발표한 1월중 산업활동 동향을 보면 생산 증가율이 0% 가까이 기록되는 등 경기지표가 2년여만에 최악의 상황을 보이고 있다. 이같은 추세는 2월에도 이어지는 등 작년 4분기 이후 내리막길을 걷던 우리경제의 둔화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기업인들의 체감 경기가 다소 나아지고 있는 점, 4대 부문의 개혁 마무리에 따른 자금시장의 안정과 정부예산의 조기집행 효과 등을 들어 2분기부터 회복 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반면 민간 경제연구기관들은 정부의 낙관론에 경계를 표하며 철저한 구조조정과 시장시스템의 작동 등을 강조하고 있다.  통계청은 "설 연휴로 조업 일수가 줄어들어 생산이 크게 둔화됐지만 조업일수 감소요인을 제외하면 전달과 비슷한 수준으로, 둔화세가 다소 진정된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재정경제부는 1월 폭설과 한파, 설연휴 조입일수 감소,반도체 가격 하락 등으로 실물 경제지표가 크게 나빠졌지만 1분기에는 바닥을 치고 2분기부터 회복 가능성이 있다고 조심스레 전망하고 있다. 이는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조사한 2월 기업경기 실사지수(BSI)가 83.0으로 전달 62.7에 비해 크게 증가해 기업경기의 둔화폭이 줄어들고 있다는데 근거하고 있다. 정부는 세출예산의 63%를 상반기에, 특히 36%를 1분기에 배정함에 따라 예산 조기집행의 효과가 가시화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과 부시 행정부의 감세정책의 효과 등 대외 호재가 겹칠 경우 경기회복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민간 연구기관들은 이에 대해 다소 성급한 판단이라고 지적하고 정부가구조조정을 제대로 하고 대내외적인 경제환경이 좋아질 경우 하반기부터 회복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한다. 하지만 국제통화기금(IMF)이 미국의 경제성장률을 3.2%에서 1.7%로 하향 조정하는 등 미국 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이 다시 제기되는 등 대외 여건은 사실상 불투명한 실정이다. 정부는 경기회복 가능성에 대해 낙관만 하고있을 것이 아니라 철저한 대비책으로 임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