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역 시내버스 회사들이 만성적자로 직원들에게 월급을 제때 지급하지 못하는가 하면 연료비를 장기연체하는 등 경영난을 겪고 있는 가운데 신도여객 버스 18대에 대한 가스공급이 중단됐다. 지금까지의 가스사용료 18억1200만원을 지급하지 않은데 따른 가스공급업체의 고육지책이다. 시민의 발 역할을 하는 시내버스의 공공성을 감안, 장기연체에도 불구하고 가스공급을 계속 해왔으나 신도여객의 경우 미납금이 계속 증가해 불가피하게 공급 중단 조처를 하게 됐다는 것이다.

가스공급업체로서도 어쩔 수 없었을 것이다. 71대의 버스를 운행하고 있는 신도여객의 연체료는 지난해 5월 12억4200만원에서 올들어 6월까지 5억7000만원이 더 늘어났기 때문이다. 갚을 능력은 물론이고 의지마저도 없는 곳에 무한정 공급할 수는 없다는 의지표명으로, 나무랄 일이 아니다. 가스공급업체측은 신도여객 외에 가스 요금이 연체된 회사가 3곳이 더 있으나 연체료를 일부 상환, 미납금 총액이 지난해보다 줄은 2곳과 미납금 규모가 상대적으로 적은 1곳에는 가스를 정상공급하고 있다고 밝혀 이같은 정황을 뒷받침하고 있다.

문제는 이같은 비정상적인 상황이 언제까지 유지될 수 있을까이다. 일시적으로 울산시의 지원금을 활용해 임금 또는 4개 회사가 지급하지 못한 73억원에 달하는 가스비를 돌려막기 하더라도 지금의 만성적자구조를 탈피하지 않고서는 끝없이 되풀이 될 일이기 때문이다. 자칫 시민의 발이 일시에 묶이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는 우려감이 커지는 이유이다.

울산지역 시내버스 8개 업체 모두 경영난을 호소하고 있다. 울산시로부터 지난해 기준으로 268억원의 지원금을 받았지만 대다수는 무료환승에 따른 보전성격으로, 해마다 늘어나는 지출을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인건비는 매년 3~4%씩 인상되는 반면 이용객수는 감소, 수익이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올들어 1~5월까지만 해도 승객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1%나 줄었다. 운송수익금 기준으로 17억원에 이른다. 그렇다고 줄어든 수익만큼 요금을 인상할 수도 없는 처지다. 임금체불과 가스비 연체, 미적립 퇴직금 증가와 같은 악순환의 단초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차제에 시내버스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손실보전금을 둘러싼 줄다리기만 할 일이 아니다. 예산은 예산대로 쏟아 붇고, 회사는 경영난을 되풀이하는 구조를 바꾸는 노력을 지금부터라도 시작했으면 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