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 여파로 시작된 울산 인구 유출에
인접도시 개발붐은 탈울산 가속시켜
산업도시 명운 걸고 인구정책에 올인을

▲ 윤시철 울산광역시의회 의장

인구는 곧 도시 경쟁력이다. 전국 각 지자체가 인구 유출을 막고 유입에 사활을 걸고 있는 이유다. 지난 2015년 이후 인구가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는 울산은 도시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에 설득력을 잃고 만다. 2015년 11월 인구 120만640명으로 정점을 찍었던 울산 인구는 지난 3월 현재 119만 1333명으로 크게 줄었다. 울산 인구가 2015년 순유출(80명)로 전환된 이후 지난해에는 큰 폭의 순유출(총 7622명)을 기록했다. 그동안 직업과 일자리 등으로 울산으로 유입되던 인구가 조선경기 불황 등 지역 경기침체로 일자리가 현저하게 줄어들면서 마이너스를 기록한 탓이다. 여기에 주택과 교육 문제 등 정주여건이 개선되지 않자 인구 유출이 심화되는 부작용을 초래했다.

한 가지 주목할 점은 울산과 인접한 도시들이 신도시 개발 등 대규모 도시개발사업으로 주택공급이 확대되면서 울산 인구유출을 가속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부산 기장군은 정관신도시에 이어 지난해 부산도시철도 동해선(일광~부전역) 개통으로 일광신도시 개발(택지개발사업)사업이 탄력을 받고 있다. 경남 양산은 물금신도시와 함께 서창·덕계 등 인근 웅상지역까지도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이 속속 진행되고 있다. 이들 지역은 부산-울산 고속도로를 이용하면 울산에서 30분 안팎 거리다. 가깝고 아파트 가격도 싼 편이다. 이렇듯 각종 개발호재와 정주여건 개선이 맞물려 상주인구가 급속히 팽창하는 추세다. 사람이 모이는 곳에 시장이 형성되는 이치와 같다.

하지만 이들 도시와 경계를 하고 있는 울주군의 인구 추이는 볼품이 없다. 광역시 승격 당시 울산 웅촌과 양산 웅상은 인구 편차가 크지 않았다. 그러나 20년이 지난 지금 웅상 인구가 10만명에 근접하고 있는 반면 웅촌은 1만명을 밑돌고 있다. 이 기간 웅촌은 크고 작은 공장 600여개가 늘어났지만 인구 증가는 답보 상태다. 다시 말해 울주군 지역에서 일하지만 거주지는 부산과 양산에 두고 있다는 말이다.

울주군의 정주여건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당위성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왜냐하면, 인근 부산 기장과 해운대, 양산 등 도시가 울주군에 비해 주거 환경이 양호하고 주택가격이 싸다는 반증이다. 그 결과 울주군의 인구와 고용은 최근 5년간 증가세를 보였으나 범서 등 특정 지역에서만 이루어지는 불균형을 낳았다. 상대적으로 군내 타 지역은 낙후되는 등 균형발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형국이다. 특히, 범서지역은 울산 시가지와 서부 역세권을 연결하는 교통 요충지인데도 개발제한구역으로 둘러싸여 통합적인 도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들 지역에 대한 개발 압력이 개발제한구역을 넘어 울주군 서·남부 지역의 난개발로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울주군 인구 감소는 대구 달성군의 추격에도 위태롭다. 달성군은 대구 테크노폴리스와 국가산업단지, 성서 5차 산업단지, 옥포보금자리 주택단지 등 대규모 개발이 진행되면서 연내 울주군의 인구를 뛰어 넘어 군부 1위 자리에 등극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지난해 2월 기준 달성군 인구는 19만9229명으로 울주군과는 2만여명 차이다. 울산의 미래 먹거리를 위해 울산시와 울주군은 인구 늘리기 정책에 올인해야 한다. 일자리 창출은 물론 중·고교 교육여건 개선, 신규대학 유치, 대졸 취업기회 다양화, 베이비부머 세대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 등도 필요하다. 사람이 떠나는 가장 큰 이유는 살 집이 없다는 것이다. 그런 만큼,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은 한시도 늦출 수 없다. 그래야 불가피하게 기장과 웅상, 양산 등 울주군 인접지역으로 거처를 옮겼던 울산의 직장인들이 다시 울산시민으로 복귀할 수 있을 것이다. ‘탈울산’을 막느냐, 못막느냐에 산업도시 울산의 명운이 달려있다.

윤시철 울산광역시의회 의장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