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째 혼선을 빚고 있는 울산교육연수원 이전 건립이 다시 지역사회의 쟁점으로 떠올랐다. 교육청이 동구지역 안으로 이전한다는 방침을 철회하고 교직원 설문조사를 통해 빠른 시일내 이전 부지를 선정하겠다고 밝힌 것이 계기다. 사실상 동구지역내 이전은 물 건너간 것이나 다름없다. 애초에 동구청이 제공하려고 했던 부지를 사용할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부지에 포함된 사유지의 소유주인 월봉사가 부지를 내놓지 못한다고 공식 통보했다. 이미 이 곳 외에도 동구 지역내 여러 곳의 부지를 검토했으나 합의를 도출하지 못했다. 더 이상 동구지역 안에 두어야 한다는 주장을 하기는 어렵게 됐다.

교육청의 판단은 폐교부지 활용에 기울어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 4월 교육부 중앙투자심사위원회에서 울산교육연수원 이전에 관한 권고사항으로 폐교 활용방안이 제시된데다 예산도 대폭 절감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폐교 부지를 활용하게 되면 진도는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그리 간단치는 않다. 교직원들을 대상으로 선호부지를 묻는 설문조사를 다음달 실시할 계획이다. 폐교는 접근성이 떨어지는 곳이 대부분이다. 교직원들의 호응을 얻어내기가 쉽지 않다는 말이다. 교직원단체총연합회는 벌써부터 “폐교만을 대상으로 놓고 설문조사를 할 경우, 입지선정에 한계와 지역간 형평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면서 “울산 전역을 대상으로 충분한 사전조사와 검토를 거쳐야 한다”고 26일 기자회견을 통해 밝혔다.

사실상 폐교가 아닌 다른 부지를 찾는 것은 쉽지 않다. 그동안 교육청이 접근성이 뛰어난 다른 지역의 부지를 희망했지만 울산시의 동의를 얻어내지 못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교육연수원을 접근성이 뛰어난 중심가에 두어야 한다는데 공감할 시민은 많지 않다. 교육연수원은 특정한 목적이 있는 특정 계층이 이용하는 시설이므로 접근성이 가장 우선돼야 할 조건이라 하기는 어렵다. 살펴보면 폐교 가운데도 위치가 좋은 곳이 없지 않다.

교육연수원 설립 논의가 시작된 것은 2008년이다. 벌써 10년째 논란만 거듭하고 있는 셈이다. 혹여 설립 의지가 없는 것이 아니라면 이번 기회에 반드시 결론을 얻어야 할 것이다. 교직원들이나 교원단체의 의견수렴을 하되 실현가능성에 방점을 두어야 한다는 말이다. 행정력 낭비는 물론이고 시민들의 피로도도 여간 아니다. 내년은 교육감 등을 뽑는 지방선거가 있는 해다. 올해를 넘기면 정치쟁점이 될 것이 뻔하다. 언제 가닥이 잡힐 지 알 수가 없다. 더이상 좌고우면 하지 말고 교육청이 지난 25일 발표한 로드맵대로 2019년 말 교육연수원이 완공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