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창환 사회부 cchoi@ksilbo.co.kr

문재인 대통령은 고리1호기 폐로식에서 “원전 해체 기술력 확보를 위해 동남권 지역에 관련 연구소를 설치하고 적극적으로 지원해 대한민국이 원전 해체 산업 선도국가가 될 수 있도록 노력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7월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 자문회의에서 최종적으로 ‘경제성 없음’으로 원전해체기술연구센터(원전해체센터)를 백지화한지 1년만에 사업추진이 재개된 것으로 울산시에 다시 한번 기회가 찾아 온 것이다. 대통령이 밝힌 ‘동남권 지역’이 원전을 끼고 있는 동해안 지역으로 파악되면서 울산, 부산, 경북의 치열한 유치경쟁이 시작됐다. 경북(경주)에는 한수원 본사와 방폐장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울산과 부산’간 경쟁구도가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울산시는 원전해체센터 유치의 필수조건을 충분히 갖추고 있어 당위성은 확보돼 있다. 울산은 원전해체센터의 실증·산업화 역량과 연계된 산업인프라와 인적자원이 전국 최고수준이다. 석유화학, 플랜트산업의 원전해체 기술 관련 기업이 1000개 이상 소재하고 있으며, UNIST(울산과학기술원)와 KINGS(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등 우수한 전문교육기관이 입지해 있다.

또 유치의 필수 조건인 3만3000㎡규모의 부지(서생 에너지융합산업단지)와 47만명에 달하는 서명으로 주민수용성을 일찌감치 확보했다. 또한 울산시민의 94%가 원전반경 30㎞내 거주하고 있지만, 원전 입지에 따른 수혜는 거의 없었다. 부산이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중입자자속기, 수출형 신형원자로 사업을 경북 경주가 방폐장유치 지원사업, 양성자가속기연구센터, 한수원 본사 등의 혜택을 받은 것과는 대조적이다.

원전해체 관련 산업은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다. 우리는 이제 첫단추를 끼우는 단계에 있지만 세계시장규모는 1000조원에 이른다. 산업수도로 50년간 대한민국의 경제성장을 주도해온 울산은 주력산업의 침체로 위기에 직면, 원전해체 등 산업의 다변화가 시급하다. 당위성만 갖췄다고 해서 유치가 관철되는 것은 아니다. 당위성 및 논리 부각, 협력네트워크 구축, 유치 분위기 조성방안 등 더욱 촘촘하고 세밀한 전략을 세워나가야 유치에 성공할 수 있다.

최창환 사회부 cchoi@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