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중구는 옛 울산초등학교 앞을 문화의 거리로 지정하고 그곳에 입주하는 예술업종에 대해 재정지원을 하고 있다. 문화예술인들의 집적화를 통해 문화도시로 새롭게 부흥하겠다는 전략이다. 지원의 범위는 건물수선비와 임대료, 간판제작비의 일부다. 최대로 지원을 하면 3년간 1명에 지원되는 금액은 2000만원 가량이다. 이를 위한 1년 예산은 3억원가량 된다. ‘문화의 거리 육성’이라는 이 사업의 지원으로 현재 중구 문화의 거리에 입주한 문화예술인은 총 50명이다. 연간 3억원을 들여 화랑, 화실, 공연장, 공방 등 50곳의 문화공간을 울산초등학교 앞 H자 거리로 불러들인 것이다.

이같은 제도가 시행된 지 벌써 3년이다. 5일 열린 2017년 제2차 문화의 거리 육성위원회에 행사비 지원 심의를 받으러 온 한 입주 문화예술인은 “간섭 없는 지원을 통해 문화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같은 지원방식이 몹시 감사하다”면서 “큰 금액은 아니지만 작업을 계속하게 하는 밑거름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리 큰 돈 들이지 않고 문화예술인들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내 도시에 문화적 향기를 불어넣고 있는 셈이다. 그들로 인해 얻어지는 도시의 경쟁력을 고려하면 결코 비싼 대가라 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폐업하는 곳도 있다. 지금까지 13곳이다.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도 한 원인이다. ‘문화의거리 육성’ 사업으로 도시가 살아나면서 임대료가 인상되는 현상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건물주들에게 협조를 요청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지만 한계가 있다. 소멸보다 생성이 더 많다면 성공적이라 해야 한다.

재정으로 문화예술인을 지원하는 것이 적절한가라는 논란의 여지도 없진 않다. 하지만 이를 통해 문화도시가 된다면 기꺼이 투자할 가치가 있다고 본다. 예술활동이 활발한 도심은 그 자체가 평생학습공간이다. 창의력 향상을 위한 그 어떤 교육보다 효과적이기도 하다. 미국의 오바마 정부는 국가의 창의성은 어린이 예술교육에서 온다고 굳게 믿었고 특히 저소득 어린이의 예술교육에 힘썼다고 한다. ‘문화의 거리 육성’ 사업이 중구를 넘어 울산시의 다른 구·군으로 확산됐으면 하는 이유이다.

상업활동이 활발한 중심부가 아니더라도 특정 골목을 설정해 문화예술인의 작업실이나 문화공간을 유치하면 될 일이다. 문화시설을 짓는데 드는 비용에 비하면 훨씬 적은 예산으로 훨씬 더 효과적이고 넓은 문화공간을 만들게 되는 셈이다. 문화예술회관이라는 한정된 공간을 벗어나 될수 있으면 가까운 곳에서 문화예술을 접하면서 생활하도록 해주는 것이 바람직한 문화정책이 아니겠는가.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