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준호 기자 사회부

기업의 목적은 이윤 창출이고, 노조의 목적은 조합원들의 권익보호와 복리증진이다. 이 두가지를 어떻게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게 하느냐를 두고 노와 사가 묘수를 짜내고 협의하는 것이 바로 노사협상이다.

최근 여름휴가를 앞두고 울산지역 기업체들의 노사 갈등으로 파업 전운이 짙게 감돌고 있다. 매년 연례행사처럼 노와 사가 협의를 하다 접점을 찾지 못해 갈등을 빚는 상황이 시민들에게는 매번 큰 피로감으로 다가온다.

물론 노동위원회 조정을 거쳐 합법적으로 이뤄지는 파업은 노동자의 정당한 권리를 찾는 과정이기 때문에 마땅히 인정돼야 한다.

문제는 그 방법이 파업이 아닌 다른 합리적인 길이기를 울산시민들은 간절히 바라고 있다는데 있다.

조선업 불황의 여파로 지난해부터 본격화된 현대중공업 등 조선업계에서 빚어진 노사 갈등은 올해도 여전하다. 지난해 임단협은 끝이 보이지 않는데 분사로 인한 단협승계 문제와 올해 임금협상까지 맞물리면서 더욱 꼬여만가고 있다.

지난 2004년 이후 12년 만에 진행한 전면파업(1회) 등 지난해 총 24차례의 파업과 12차례 특근 거부로 총 14만2000여대, 약 3조1000억원의 생산 차질을 빚은 현대차도 올해 임단협 역시 만만치않은 상황이다.

시민의 발 역할을 하던 시내버스도 노사 갈등에 올스톱될 위기다. 유일한 대중교통이 멈추면 시민들의 불편은 안봐도 뻔하다.

노사가 갈등을 빚고, 파업이 이뤄지면 가장 큰 타격을 입는 것은 지역사회다. ‘파업 성수기=상권 비수기’라는 말이 괜히 나온 것이 아니다.

노사는 울산 지역 경제를 책임지고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한다. 안그래도 어려운 지역 서민 경제의 어려움을 가중시킨다면 노사에 대한 지역의 인식은 계속 부정적일 수밖에 없다.

위기 속의 울산을 기회의 도시로 바꾸는데는 지역 경제의 버팀목인 이들 노사의 힘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잊지않길 바란다. 노사 상생만인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다.

김준호 사회부 kjh1007@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