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의 낙동강 하굿둑 개방이 현실화하고 있다. 정부가 나서 곧 연구용역에 들어갈 모양새다. 해양수산부, 부산시, 울산시 등이 참석한 가운데 10일 열린 회의에서 올해부터 2020년까지 하굿둑 일부를 개방해 그 결과를 모니터링하는 연구용역을 수행하는 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낙동강 물을 식수로 사용하고 있는 울산으로서는 염분유입에 따른 피해를 우려하지 않을 수 없는 입장이다.

낙동강 하굿둑 개방은 낙동강 하구의 생태계를 살려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겠다는 서병수 부산시장의 정책이다. 지난 정부는 염분 확산을 이유로 반대입장이었다. 그러나 문재인 대통령은 생태계 복원을 위한 하굿둑 개방에 긍정적 입장을 보이며 부산지역 공약으로 채택했다. 특히 새정부 들어 물관리 업무가 환경부로 일원화하면서 하굿둑 개방이 탄력을 받기 시작했다. 환경부는 3년내 결론을 내겠다는 방침으로 염수피해 모니터링 연구용역을 올해 안에 발주할 것으로 보인다. 울산시의 대책도 그만큼 시급해졌다.

울산시의 낙동강물 의존도는 17% 가량이다. 낙동강 원동취수장에서 하루 최대 100만t을 공급받아 생활용수(30만t)와 공업용수(70만t)로 사용하고 있다. 원동취수장은 하굿둑으로부터 27㎞지점에 있다. 바닷물 유입으로 염분 피해가 예상되는 지점이다. 염분 농도가 높아지면 울산은 식수사용이 불가능해지거나 정수비용 부담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

사실상 하굿둑 개방에 따른 염분피해가 아니더라도 울산시의 대체식수원 발굴은 시급하다. 이미 낙동강 물에 대한 신뢰도는 최악이기 때문이다. 지난 3일 안동댐 상류 30㎞ 지점에서 물고기의 집단폐사가 발생했다. 지난해 8월 낙동강 상류의 지천에서 잡힌 강준치에서는 1㎏당 0.8㎎의 수은이 검출돼 조업이 중지된 적도 있다. 하지만 낙동강의 수질 개선은 쉽지 않다. 낙동강 유역 중상류지역 산업단지 면적의 대폭적 증가가 그 이유다. 부산시와 환경부의 ‘낙동강 유역 공업단지 현황’에 따르면 중·상류지역 산업단지 면적은 1억3317만6000㎡에 이른다. ‘낙동강 수계 물 관리 및 주민 지원 등에 관한 법률’ 제정(2002년) 이전(6852만4000㎡) 보다 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수질오염 우려는 상존하는 반면 수질개선은 한계에 봉착한 셈이다.

이에 따라 대구시와 경남도는 새로운 식수원 개발을 위한 대책을 속속 내놓고 있다. 지역내에서 식수원 개발이 어려운 울산은 그저 부산과 대구 등 타 도시만 바라보고 있어야 하는 건지 안타깝다. 울산은 낙동강 오염의 위협 뿐 아니라 반구대 암각화 보존과 관련해 청정식수원인 사연댐 수위를 낮추라는 요구에도 직면해 있다.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절실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