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이 일상화되고 있다. 5월부터 기상청의 폭염예보가 연이어 들려오더니 7월 들어서는 찜통더위가 계속되고 있다. 폭염 피해를 경고하는 국민안전처의 긴급재난문자가 연일 날아들 정도다. 울산과 인접한 경주, 포항 등 동해안 지역에서는 13일 낮 최고기온이 40℃에 근접, 가장 무더운 한해라는 원치 않는 기록까지 경신할 것으로 보인다. 세계기상기구(WMO)는 지난 2016년이 기상 관측 사상 가장 무더운 해였다고 발표한 바 있다. 폭염으로 인도, 중국, 남유럽, 북미 등 세계 곳곳에서 많은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가 속출했고,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었다. 기록적인 폭염으로 사망자 7명, 온열질환자 2117명이 발생했다. 올해는 이를 뛰어 넘을 것으로 보인다. 삶의 질을 넘어 생존까지 위협하는 수준에 이를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이 싹튼다.

울산도 전국에서 가장 더운 도시 중의 하나로 심심찮게 거론되고 있다. 기상관측소에 기록되는 수치보다 체감온도는 더 뜨겁다. 도심과 산업현장의 열기는 ‘살인더위’를 실감케 할 정도다. 급속하게 진행된 공단개발과 도시화로 녹지가 훼손되고, 바람통로가 막히면서 도심 열섬 현상을 부추긴 탓이다.

산·바다·강이 어우러진 울산이다. 녹지가 훼손됐다고는 하지만 1인당 공원면적도 전국에서 가장 높다.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아 바다 쪽에서 남동풍이나 동풍이 불면 자연적으로 기온이 내려가는 자연환경적 이점까지 안고 있다. 그럼에도 울산이 뜨거운 도시가 된 것은 도심을 달군 더위가 빠져나갈 수 있는 바람길이 막혔기 때문이다. 바람길을 막는 기형적인 도시구조가 낮동안 도시를 데운 열기를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하면서 ‘더위적체’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더 큰 문제는 이같은 울산에서의 여름 고온현상이 일회성이 아니라는데 있다. 단순한 기후변화에 의한 천재지변이 아닌 바람길과 녹지조성에 인색했던 사람들의 잘못으로 상시화·구조화되고 있는 것이다. 보통 도로나 건물은 열을 내뿜는 역할을 하고, 녹지는 햇빛 차단과 증산 작용을 통해 주변의 기온을 낮춘다. 국립기상연구소에서는 녹지지역과 도심 건물지역의 기온차가 최고 7℃까지 차이난다고 설명한 바 있다. 지금이라도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 도시 온도 낮추기에 나서야 한다. 여름 더위의 대명사로 꼽히던 대구시를 비롯해 전국 지자체들이 도시 온도 낮추기 대책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온도 낮추기가 도시 경쟁력이라는 인식에서 장·단기 계획을 마련, 도시 숲 조성에서부터 바람길 조성 등에 나서고 있다. 살고 싶은 도시를 지향하는 울산의 발걸음도 빨라졌으면 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