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을 전진기지로 1975년 고유 모델인 포니를 출시한 후 한국인 승용차 라인업의 기준을 제시하며 국내 최대 자동차 기업으로 성장해 온 현대자동차를 바라보는 소비자의 시선이 차가워지고 있다. ‘그만한 가격에 그만한 차 없다’는 세계 최고 수준의 가격 대비 가치(Value for Money)로 순식간에 2015년 기준 세계 5위의 점유율을 기록한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의 일원이 됐지만 정작 국내 소비자들이 느끼는 체감만족도는 계속 내려가고 있는 것이다. 세계 자동차업계의 트렌드를 주도할 정도의 성장에는 국내 소비자의 헌신적인 기여가 있었지만 품질과 서비스 개선은 뒷전인채 노사가 잇속 차리기에 급급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 중심에는 경영투명성 문제와 노사갈등이 자리하고 있다. 1987년 출범 이후 30년간 단 4번만 파업없이 임단협을 체결한 후진적 노사문화의 비용을 고스란히 소비자들이 부담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는 의구심을 떨칠 수가 없는 것이다.

현대자동차 노조가 또 다시 파업을 택했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따른 보복으로 중국 실적이 반 토막 난데다 시장 점유율이 급락한 미국 시장에서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의 암초마저 생겼지만 사면초가의 회사 상황에는 전혀 아랑곳하지 않는 모습이다. 지난해 10월24일에 걸친 파업 진통 끝에 겨우 임금협상을 타결한 뒤 “임금협상 장기화로 협력업체의 경영난과 고객 불편을 초래한데 책임을 통감한다. 노사가 이제 과거와 다른 모습으로 거듭나겠다”며 공동명의의 발표문을 읽고 국민 앞에서 ‘변화’를 약속했던 노사의 모습도 간데 없다.

파업절차를 마무리 한 노조는 중앙노동위원회의 10일간 조정 기간이 끝나는 18일부터 합법적으로 파업할 수 있다. 2012년부터 6년 연속이다.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현대차 노조의 파업일수(전면·부분)는 총 56일에 달한다. 현대차에 따르면 이 기간 동안 34만2000대, 액수로는 7조3000억원의 생산 차질이 발생한 것으로 추산된다. 올해는 파업의 충격이 특히 클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차의 상반기 전체 자동차 판매 대수는 219만8342대로 2012년 이후 5년 만에 최악이다. “강성인 미국 자동차 노조도 회사 상황이 어려워지면 위기감을 느끼고 협력하는데 우리나라 노조는 나몰라라하며 자기 것만 챙기기 바쁘다”며 “1998년 외환위기의 교훈을 벌써 잊어버린 것 같다”는 일각의 비판이 가뜩이나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는 소비자의 생각과 다르지 않아 보인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