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연댐 ‘수문설치안’ 왜, 어떤 이유로 불가하나

Q:문화재청이 반구대암각화 보존방안으로 사연댐 수위조절에 바탕을 둔 ‘수문설치안’을 적극 검토하면서 울산시와 정면 충돌하고 있다. 논란이 되고 있는 수문설치안에 대한 정의와 함께 울산의 식수문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현실화 가능성 등에 대해 살펴본다.

공학적으로 불합리…댐 새로 지어야 할 판

A:수문설치안을 제대로 알기 위해서는 반구대암각화와 사연댐, 대곡댐의 위치적 이해가 선행돼야 한다.

1965년 준공된 사연댐의 6㎞ 위로는 2005년 6월 완공된 대곡댐이 있다. 하루 22만t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대곡댐에는 별도의 취수시설이 없어 관로를 통해 물을 대곡천으로 방류해 사연댐에 물을 공급하는 역할만 한다. 취수시설을 가진 사연댐은 대곡댐에서 보내준 물을 천상정수장으로 보낸다. 사연댐과 대곡댐은 이름은 다르지만 하나의 식수원인 셈이다.

반구대암각화는 사연댐 상류에 있다. 사연댐의 수위는 50~60m인데, 암각화는 53m일 때 침수가 시작돼 57m가 되면 완전히 잠긴다. 수문설치안은 사연댐 여수로에 수문을 설치해 암각화가 물에 잠기지 않게 수위를 항상 52m로 낮추는 것을 말한다. 사실상 문재재청이 고수해온 수위조절안과 똑같다. 그러데 이 방안은 울산의 식수부족 문제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정부(국무총리실)와 울산시, 문화재청이 가변형 임시물막이(카이네틱댐)를 추진하면서, 3개 기관은 2014년 8월1일 카이네틱댐 건설까지 임시로 사연댐의 수위를 52m 아래로 수위조절하는데 합의했다. 수위조절에 대한 권한은 국토부가 댐을 관장하는 수자원공사의 상부기관인 국토부가 가졌다. 그러나 수위조절의 여파는 컸다. 52년만에 울산의 주요 식수원인 사연댐과 대곡댐이 바닥(본보 7월21일자 1면)을 보였고, 울산시민들은 맑은 물로 분류되는 ‘댐물’이 아닌 2급수 수준의 낙동강 물을 먹게 됐다.

수문설치안은 공학적으로 불합리한 것으로 입증됐다. 울산시에 따르면 올 상반기 반구대암각화 보존방안 용역에서 국내 최고수준의 댐 설계전문업체인 도화엔지니어링은 수문설치 과정에서 댐 붕괴 위험이 매우 크다고 분석했다. 굳이 수문설치안을 추진하려면 댐을 철거한 뒤 새로 짓는 방안이 낫다고 업체는 자문했다.

물론 댐을 새로 짓는데는 수천억이 넘는 천문학적 비용이 든다. 과거 울산시 역시 수문설치안을 검토한 적은 있다. 2010년 수위조절로 인한 사연댐 물공급 감소분을 운문댐 등 타지역에서 끌어오는 ‘울산권 맑은 물 공급사업’이 청신호가 켜졌을 당시 일이다. 현재처럼 ‘울산권 맑은물 공급사업’이 지자체간 첨예한 이해관계 탓에 실현 가능성이 희박한 상태에서는 고려대상이 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암각화 보존을 위해 통큰 양보로 시행된 수위조절로 울산시가 52년 만에 청정식수 먹을 권리를 빼앗긴 사실이 이를 입증한다.

최창환기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