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상사화

 

피부질환엔 말리지 않은 줄기 바르고
살갗에 돋은 물집제거엔 달여서 복용

한여름 밤 오작교에서 견우와 직녀가 상봉하는 음력 칠월칠석, 그 무렵이면 어김없이 나타나는 애달픈 운명의 꽃이 있다. 상사화(相思花·사진)다.

겨울을 나고 이듬해 봄이 되면 튼실하게 잘 생긴 잎이 고개를 내민다. 하지만 잎은 초여름까지 계속 자라며 안간힘을 써 보지만 끝내 꽃을 보지 못하고 사그라진다. 상사화란 이름의 유래는 꽃이 필 때 잎은 없고, 잎이 자랄 때는 꽃이 피지 않으므로 서로 볼 수 없다하여 지어졌다고 한다. 그래선지 꽃말도 ‘그리움’이다.

알뿌리를 둘러싼 껍질은 어두운 갈색이고 밑바닥에 많은 뿌리가 나 있다. 난초 잎과 비슷한 연한 잎이 뭉쳐 자라는데 잎 끝은 둥그스름하다. 6월 경에 잎이 말라버린 후에 60㎝ 정도의 높이를 가진 꽃대가 자라난다. 꽃대의 끝에 4~6송이의 꽃이 뭉쳐 피는데 완전히 핀 꽃은 모두 옆을 향한다. 지름 7㎝ 안팎의 꽃은 6장의 피침 모양의 꽃잎으로 이루어져 있다. 꽃이 뭉친 상태는 우산 형태이다. 대부분의 구근 식물들은 잎이 나와서 성장을 해 꽃을 피우고, 꽃이 진 후에도 잎은 계속 남아서 알뿌리를 살찌우는 임무를 다 하고 나서야 사그라진다.

추측이지만 상사화의 경우 지신의 체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꽃송이를 그 것도 여러 개를 한꺼번에 피우려다 보니 꽃대줄기가 굵어야 하고 굵은 꽃대를 밀어 올리려면 강한 체력이 필요하다. 그래서 두 달여 가량 잎, 줄기 부양의 부담을 지지 않고 휴면을 취하면서 비축한 체력을 일시에 쏟아 붓기 위한 나름의 선택이 아닐까. 실제로 상사화는 한번 꽃을 피우는데 혼신의 힘을 다 소모해 버리기 때문에 이듬해에는 꽃을 피우지 못하고 구근이 스스로 쪼개지면서 자손을 늘리는 데만 집중한다.

상사화는 전 세계적으로 수백 종이 있다. 우리나라에 있는 상사화의 종류는 상사화(분홍상사화), 진노랑상사화, 노랑상사화, 붉노랑상사화, 위도상사화(힌상사화), 제주상사화, 백양꽃(백양상사화), 꽃무릇 등이다.

▲ 김동해 한국전통약초연구소 소장

한방에선 녹총이란 이름으로 사용하며 약효는 체내 수분의 흐름을 다스리며 종기를 가라앉게 하는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살갗에 돋는 물질을 없애는 데 쓰이며 그밖에 악성종기와 옴의 치료약으로도 사용한다. 살갗에 돋은 물집을 없애기 위해서는 1회에 10g의 약재를 1000㏄의 물에 넣어 달인 것을 복용한다. 피부질환에는 말리지 않은 비늘줄기를 찧어서 환부에 붙인다. 일본에서는 이 약재를 주근깨와 여드름을 없애기 위해 즙액을 환부에 바른다고 한다.

약술을 담을 때는 가을에 알뿌리를 채취 해 잘 손질한 뒤 20도 전후의 바탕술을 붓고 밀봉하여 6개월 정도 숙성시킨다. 찌꺼기를 건져내고 다시 6개월 정도 더 숙성 시킨 다음 조석으로 식후 한 잔씩 복용하는 것이 좋다. 김동해 한국전통약초연구소 소장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