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지자체 다양한 행사 추진하지만
청년회 주도 등 독특한 사례 전할
울산은 지역사회 논의조차 없어

▲ 2019년은 ‘3·1운동과 임시정부수립’ 100주년이 되는 해인 만큼 기념사업 준비를 서둘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사진은 병영 만세운동·언양 만세운동 거리행진·남창 4·8만세운동 재현행사 장면. 경상일보 자료사진

오는 2019년은 ‘3·1운동과 임시정부수립’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전국 곳곳 각 지자체들이 기념사업회 설립과 관련 기념행사를 준비하느라 분주한 가운데 정작 울산에서는 이에 대한 준비작업이 전혀 이뤄지고 있지 않아 지역사회 각계의 관심과 열정이 하루 빨리 모아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3·1운동 100주년 앞두고 타 지자체에서는 이미 올해 초부터 각종 기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광복회 광주전남지부는 전남 항일독립운동기념탑 건립추진위원회를 구성, 전남도청 소재지에 의향 전남을 기리는 전남 항일독립운동기념탑 건립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건립추진위원회는 이미 지난해 3·1절을 기해 문화·예술계 전문가와 도의회, 시민단체 관계자 등 11명의 위원으로 추진위를 꾸렸다. 기념탑은 국비 4억원, 도비 8억원 등 총 12억원의 예산을 들여 내년 말 완공된다.

개별행사에 그치지 않고 10개 지자체가 연대해 공동사업을 모색하는 경우도 있다. 참여 지자체는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을 함께 추진하던 경기 가평군·서울 강북구·충남 논산시·강원 양양군, 만해 한용운 선양사업을 위한 서울 성북구와 서대문구·충남 홍성군·강원 속초시와 인제군, 고성군 등으로, 올해 초 첫 사업으로 ‘3·1운동 기념 독립로드 대장정’을 펼치기도 했다.

하지만 울산에서는 지난 4월 언양과 병영 일원에서 해마다 진행하던 만세운동 재현행사만 치렀을 뿐 아직까지 100주년 사업에 대한 논의나 기념사업회 결성과 같은 움직임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1919년 당시 울산의 만세운동은 서울도심에서 3월1일 일어난 삼일만세운동 보다 한달 여 늦게 진행됐다. 서울에서의 독립선언과 만세시위가 시차를 두고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전국 각 지역으로 전파됐기 때문이다.

울산에서는 4월 초 언양과 병영, 남창 세 지역에서 시위가 일어났다. 언양과 남창에서는 5일 간격으로 열리는 장날을 이용해 시위를 벌였는데, 각각 천도교 조직과 학성이씨 문중이 주도했다. 병영의 만세운동은 동네 청년들로 구성된 청년회가 주축이 됐기 때문에 다른 지역에 비해 독특한 사례로 알려져 있다.

 

최근 발간된 울산시사 <울산을 한 권에 담다>에서는 ‘문중, 종교, 청년회 등 다양한 주체들이 독립 선언을 준비했다. 그들의 주도로 전국 각지에서 시위가 이어졌는데, 4월 초에는 지방에서의 만세운동이 절정을 이루었다’고 기술하고 있다. 또 ‘당시 울산군의 중심지였던 울산읍내에서는 시위가 확인되지 않는데, 경찰이 사전에 시장을 폐쇄하는 등 감시를 강화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했다.

한 지역 향토사 연구자는 “2019년을 목표로 한 범정부적 3·1 운동 기념사업도 중요하지만 울산의 독특한 지역사를 자라나는 청소년은 물론 외지에서 들어 와 울산의 근대사를 잘 모르는 시민들에게 제대로 알려 줄 필요가 있다”며 “독립운동 순국선열의 뜻이 100년 후까지 이어갈 수 있도록 지역사회 각계의 논의가 하루빨리 진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홍영진기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