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독립운동가’서 발췌
‘잊혀진 영웅들, …’ 발간
숭고한 독립정신 각각 소개

#이회영(1867~1932)과 그의 여섯 형제들은 한국판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본보기였다. 하지만 그들 중 다섯 형제가 순국했다. 전 재산을 급매해 독립자금으로 사용했고, 만주로 가 신흥무관학교를 세워 3500명의 독립군을 길러냈다. “이보게. 내 이 돈을 전부 줄테니 한 가지 부탁하세. 앞으로 수많은 조선 젊은이들이 이 강을 건너올 걸세. 그 때 그들을 잘 부탁하네” 이회영이 압록강을 건너 만주로 갈 때 뱃사공에게 한 말이다.

#남자현(1872~1933)은 영화 ‘암살’에서 배우 전지현이 맡은 배역의 실제 주인공이다. 그는 의병활동으로 전사한 남편을 뒤를 이어 중국으로 건너 가 독립군의 뒷바라지를 도맡았다. 그가 순국하자 하얼빈에서는 그를 ‘독립군의 어머니’로 불렀다. “만일 너의 생전에 독립을 보지 못하거든 너의 자손에게 똑같은 유언을 하여 내가 남긴 돈을 독립 축하금으로 바쳐라” 살아생전 그의 유언이었다.

▲ 1992년부터 국가보훈처가 매달 발표하는 ‘이 달의 독립운동가’ 중 67명을 골라 책으로 묶은 <잊혀진 영웅들, 독립운동가> 표지.

광복절이 다가오고 있다. 국가보훈처에 등록된 독립운동가는 약 2만여 명. 하지만 아직도 어딘가에 잠들어 알려지지 않은 독립운동가가 많을 것이다. 불과 백년도 되지 않은 우리의 역사를 되돌아보고, 그 중심에 선 그들의 이름과 숭고한 정신을 되새기는 의미있는 책이 나왔다. 광복 72주년을 맞는 이번 여름, 단숨에 읽기 좋은 책이다.

독립운동 잘못하면 3대가 망한다는 말이 있다. 나라가 어려움에 처했을 때 자신을 희생하며 고군분투한 독립운동가의 후손이라면 해방된 조국에서 마땅히 보훈을 받아야 하건만, 대한민국의 경우는 그렇지 못했다. 몇몇 이름 있는 인물은 국가 차원의 대우를 받았지만, 다수는 잊혀졌다.

이런 기 현상은 대한민국 건국주체세력의 아이러니에서 빚어진 것이지만 외세의 개입과 남북분단이라는 국내외 정세도 한 몫 거들었다.

입에 풀칠하기도 어렵던 1950~60년대 상황은 독립운동을 차분히 돌아보고 되새김할 겨를조차 앗아갔다.

그래도 1990년대부터는 독립운동에 대한 국가의 보훈이 본 궤도에 올랐고,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던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이 빛을 보기 시작했다.

특히 1992년부터 국가보훈처가 매달 발표하는 ‘이 달의 독립운동가’도 어느덧 4반세기를 지나고 있다. 그 동안 수많은 독립운동가를 소개했지만 대개 일반인이라면 들어본 적도 별로 없을 법한 ‘숨은’ 독립운동가들이 주축을 이뤘다.

<잊혀진 영웅들, 독립운동가>는 그들 가운데 67명을 골라 책으로 묶은 것이다.

역사 전공자라 해도 생소한 이름일 이원대나 한징 등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 조국의 광복을 위해 꽃처럼 떨어져 간 숨은 영웅들의 이야기를 간결하게 읽을 수 있다. 각 독립운동가의 이야기는 개별적이지만, 독립운동 최전선에서 음양으로 분투하던 사람들을 하나의 파노라마처럼 접할 수 있다.

저자인 정상규씨는 “그들의 이름을 기억하는 것이 오늘을 사는 우리가 지켜야 할 최소한의 예의”라고 생각한다. 그는 미국 영주권을 포기하고 대한민국 공군에 자원, 장교로 복무 중 ‘독립운동가’ 앱을 개발했고, 현재도 이를 운영하며 우리가 기억하지 못한 독립운동가를 알리고 있다. 320쪽. 휴먼큐브. 1만5000원. 홍영진기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