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주군이 8일 ‘형형색색 울주’라는 경관계획을 갖고 공청회를 가졌다. ‘형형색색’이라는 제목이 혹여 과도하게 페인트를 칠하고 현란한 조명을 설치하는 것은 아닌가라 걱정이 앞섰지만 전체적인 맥락은 각 지역의 다양한 매력을 찾아서 특색을 갖추겠다는 전략으로 해석돼 기대감이 높다.

울주군이 중장기 경관계획을 세우기로 한 것은 바람직하다. 일부 자치단체들이 일정지역의 경관을 보전·관리 및 형성하기 위해 경관계획 수립을 하고는 있지만 의무적 사항은 아니다. 울주군이 경관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는 것은 자연경관의 보존은 물론 역사·문화 경관과 도시·농산어촌의 우수한 경관을 보전하고 훼손된 경관을 개선 복원하는 등으로 도시의 품격을 높이겠다는 의지의 발로로 평가할 수 있다. 울주군은 도농복합에다 노후지역과 신도시가 혼재하는 도시이다. 이미 난개발의 몸살을 앓고 있는 지역도 적지 않다. 따라서 경관계획을 세워 엄중하게 도시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날 발표된 계획에 따르면 울주군은 산림·전원·산업 3개로 경관권역을 나눠 그에 따른 가이드라인이 만들어진다. 경관유산 보전관리 위해 ‘풍경이 어우러지는 자연색’, 도시민 삶의 질 향상 위해 ‘살고 싶고 매력 있는 도시형’, 도시브랜드 강화를 위해 ‘역사문화와 함께하는 지역색’ 등 3대 테마도 선정됐다. 경관별 사업유형도 관문, 조망, 시가지, 가로 및 도로, 수변, 해안, 역사문화, 녹지, 농어촌 등 9가지로 나눴다. 복잡다단한 울주군의 특성을 고루 반영하려는 노력이 돋보이는 대목이다.

문제는 경관계획의 실효성이다. 아무리 좋은 계획도 공무원들과 주민들의 공감대를 얻지 못하면 무용지물이다. 테마별·유형별로 세분화했다고 될 일은 아니다. 큰 틀의 계획서보다 오히려 시범적으로 특정지역의 경관계획을 통해 모범을 보이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도 있다. 이날 공청회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울주군의 특성을 고려한 축사경관관리는 그 좋은 예가 된다. 경관계획이 주민들의 삶 속으로 파고들지 못하고 관광지 중심으로 돼 있다는 지적에도 귀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고 했다. 도심 속 네온사인에 웬만큼 익숙해 있음에도 사람이나 차들의 왕래가 거의 없는 한적한 간절곶 바닷가 도로에 가로등이 촘촘히 줄을 서 있고 그 가로등에서 빨강·파랑의 네온사인이 번갈아 번쩍이는 것을 보면 놀라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이날 내놓은 경관계획에서도 일부 지역에 경관조명을 설치하고 벽화마을을 조성한다고 돼 있다. 보여주는 경관보다 주변 환경과의 조화, 주민들의 삶을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고려하기를 당부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