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알프스에 케이블카를 설치하려는 울산시의 사업이 내우외환(內憂外患)의 처지가 됐다. 15년여동안 질질 끌던 사업이 3수 끝에 중앙투자심사를 통과하면서 본격화할 것으로 알려졌던 것과는 달리 환경영향평가 본안 협의가 어려울 것이라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 이유는 지역환경단체들이 중앙투심의 전제조건인 공동식생조사에 응하지 않고 있는데다 신임 김은경 환경부 장관이 케이블카에 대한 부정적 견해를 드러냈기 때문이다. 김장관은 “환경영향평가를 한층 엄격하게 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자연환경을 지키자는데 반대하는 사람은 없다. 문제는 케이블카와 환경훼손의 상관관계다. 케이블카의 설치로 인해 환경이 얼마나 훼손되는지, 수많은 사람들이 걸어서 올라가는 것에 비해 케이블카가 가동된 뒤에 더 많은 사람이 몰렸을 경우 얼마나 더 환경이 훼손되는 것인지 명확한 근거와 분석이 필요하다.

그 근거를 따지고 분석해보자는 것이 환경영향평가인데 그 전단계의 공동식생조사마저 진행이 안되고 있으니 달리 도리가 없다. 게다가 식생조사를 일방적으로 밀어붙인다해도 환경부장관의 인식까지 부정적이라면 공연한 시간·예산낭비에 다름아니다.

이유야 어떻든 이제는 케이블카 설치 사업을 두고 더 이상 시간을 끌어서는 안 된다. 어느 쪽으로든 결론을 내야 하는 시점이다. 행정적으로 더 이상의 추진이 어렵다면 과감하게 접을 필요도 있다. 행정력과 예산의 낭비는 말할 것도 없고 지역내 갈등의 장기화도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사실상 십수년전부터 줄기차게 케이블카만이 유일한 대안인양 밀어부치려는 것도 이해하기 어렵다. 관광객들이 몰려드는 세계적인 유명산에는 거의 케이블카 뿐 아니라 모노레일, 산악열차, 엘리베이터까지 다양한 운송수단들이 가동되고 있다. 이들 교통수단도 들여다보면 단순한 이동수단이 아니다. 모노레일만 해도 어드벤처형으로 발전해서 모험을 즐기려는 젊은층들을 끌어들이는 관광상품이 되고 있다. 그들이 우리 보다 환경문제에 관심이 덜 한 것도, 그로 인해 산들이 망쳐진 것도 아니다. 수많은 관광객들이 몰려들고 있지만 여전히 아름답고 깨끗하다.

원점에서 다시 출발해보자. 산을 즐기고자 하는 노약자들의 요구, 많은 관광객들을 흡수해서 수익을 창출해야 하는 지역경제 등을 마냥 무시할 수는 없지 않은가. 계획단계에서부터 환경단체와 행정이 머리를 맞대 가장 친환경적인 시설이 무엇인지 다시 검토해볼 일이다. 미래를 내다보며 다양한 요구에 다양하게 대응하는 방법이 분명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