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울산시당이 문재인 대통령의 울산공약을 실천할 수 있도록 ‘울산 대선 공약 실천단’을 구성했다. 10일 분과위원회를 조직하고 워크숍을 갖는 것을 시작으로 본격 활동에 들어갔다. 8대 공약별로 분과위원회를 만들어 각 1~2명의 위원장과 위원 6~7명을 임명했다. 8대 공약은 원전안전, 석유화학공단 안전, 도시외곽순환도로, 울산형 공공병원 건립, 태화강변 국가정원 지정, 조선해양플랜트연구원 설립, 국립3D프린팅연구원 설립, 울산형 일자리 창출 등이다.

대선 공약은 지역발전의 중요한 계기가 된다. 전국 각 자치단체가 대통령 후보들의 대선 공약화에 열을 올리는 이유도 그 때문이다. 대통령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된 사업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정부 부처에서도 적극적으로 나설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대선공약이 모두 현실이 되지는 않는다. 지난 정부에서도 울산지역 대선공약이 거의 실천되지 못했다. 정권이 바뀌면서 실천가능성이 더욱 줄어들고 있는 안타까운 형편이다.

더구나 이번 대선공약의 실천은 더 어려울 전망이다. 첫째 이유는 민주당이 집권 여당이긴 하지만 울산에서는 여전히 야당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울산시당이 대선공약실천단을 가동하더라도 자치단체와 엇박자를 낼 가능성이 크다는 말이다. 또다른 이유는 일부 대선공약이 울산시가 계획하는 발전방향과 궤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이미 혁신형 공공병원 건립은 울산시와 정면으로 부딪치고 있다. 원전안전 문제도 방향을 달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통령의 의지가 담긴 대선공약이라고 하더라도 정부 부처의 정책으로 입안해 예산을 마련해야 하고 그 정책과 예산은 자치단체를 통해 집행될 수밖에 없다. 시장과 기초단체장, 지방의원 대부분이 자유한국당 소속인 울산이 아니던가. 울산시와 사전 교감 및 공감대 형성의 중요성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공약실천단 구성에 있어서도 범 시민적 참여로 정당을 뛰어넘는 진정성을 담아야 한다.

공약실천의 문제를 논하기에 앞서 이번 대선의 공약화가 그리 성공적이지 못했다는 것도 짚고 넘어가야 할 대목이다. 주력산업인 자동차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미래자동차산업 분야와 지역내 수준 높은 연구자가 있고 부가가치가 높은 바이오메디컬 산업 등을 다른 도시에 빼앗겼기 때문이다. 이들 산업은 대선공약에 담지 못했더라도 울산의 미래를 위해 포기해서는 안 되는 신성장동력이다. 대선공약이 아닌 이들 산업의 기반육성에 정부의 지원을 얻어내는데도 민주당 울산시당의 적극적인 노력과 협조가 필요하다. 아울러 지난 정부 대선 공약의 실현에도 힘을 보태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