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30억~70억 흑자 골자...수익창출·인력운용안 마련

 

매년 30억~70억 흑자 골자
수익창출·인력운용안 마련
市, 투자심사 2단계 신청
통과땐 11월 착공목표 탄력

동아시아 산업전시·기업미팅의 중심지를 비전으로 하는 울산전시컨벤션센터의 효과적인 운영을 전담하기 위한 울산시 산하 ‘지방공사’가 새롭게 설립된다. 울산시는 지방공사 형태의 법인을 설립해 매년 약 30억~70억원 흑자를 내는 방안을 골자로 한 ‘수익창출 및 조직인력운용 방안’을 마련했다.

울산시는 이같은 내용으로 중앙투자심사 2단계 심사를 행정자치부에 신청했다고 16일 밝혔다. 2단계 심사는 조건부 통과된 지난 2015년 중투심사의 후속절차로, 당시 제시된 조건의 이행 여부와 적격성 등을 따진다. 당시 조건사항은 ‘전시컨벤션센터의 시설임대와 수익창출 방안 마련’과 ‘조직 및 인력운영 방안 검토’ 등이다. 2단계 심사는 8월말 열리며, 통과시 올해 11월 착공(준공 2020년 10월)에 탄력이 붙게된다.

◇지방공사 설립 운영

울산시가 마련한 공공시설 운영계획서에 따르면 전시켄벤션센터는 전문성을 갖춘 지방공사 형태의 법인을 설립해 운영한다. 조직은 2본부 5팀 체계로 경영본부에는 경영기획팀, 시설운영팀이, 사업본부에는 전시팀과 컨벤션팀, 마케팅팀 등이 꾸려진다. 인력은 1~6급 요원 33명과 별정직 요원 1명(사장) 등 모두 34명이다.

지방공사 방식을 선택한 이유는 전문성과 공익성 확보가 주요하게 작용했다. 직영운영시는 전문성이 떨어지고, 민간전문기관에 위탁할 경우 네트워크와 노하우를 통한 조기 안정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지만, 울산 MICE산업 육성, 지역 브랜드 강화, 중소기업 지원 등의 공익적 목적이 결여되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기 때문이다.

 

◇30억~70억원 흑자 전망

사업수지 전망 분석에 따르면 2021년 정상 영업을 가정해 첫해 수익은 임대, 전시사업, 대행사업 수익 등 연간 78억3400만원이며 지출은 인건비, 관리 운영비, 기타경비 등 48억4500만원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사업수지전망은 연간 수익이 2021년 78억3400만원, 2022년 88억1100만원, 2023년 97억99억원으로 매년 증가추세를 유지해 2050년에는 151억원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출은 2021년 48억4500만원, 2022년 50억8400만원, 2023년 53억2600만원으로 늘고, 2050년에는 81억원까지 상승한다. 이에 따른 연도별 손익은 2021년 29억8900만원, 2022년 37억2700만원, 2023년 44억7300만원에 이어 2050년에는 70억원까지 흑자를 예상했다. 일자리 창출효과는 향후 30년간 직접고용효과 1294명, 간접 고용효과 3258명 등 총 4552명으로 나타났다.

◇수익창출·재원방안 마련

수익창출방안은 ‘전시회·컨벤션 유치 및 지원’과 ‘전시컨벤션 인프라를 기반으로 경영수익사업발굴’ 등 2개 전략으로 나눠 추진된다. ‘전시회·컨벤션 유치 및 지원 전략’은 자동차, 조선·해양, 기계, 화학 등 울산 기반산업과 연계해 지역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전시회·컨벤션을 발굴 및 지원한다.

또 미래 성장 동력 산업으로 발전 가능성이 높은 4차산업 분야의 전시회·컨벤션을 개발하고, 산업간 시너지 효과 극대화를 위한 전략을 강구한다. ‘전시컨벤션 인프라를 기반으로 경영수익사업 발굴 전략’은 행사장 및 상업시설의 임대수익을 높여 재무건전성을 확보한다. 또 자체 주관전시회 개최, 상업시설 임대로 부대수입 창출, 국비지원 자체 주관사업 발굴, 전시·컨벤션·관광산업의 연계를 통한 부가가치 창출 등의 세부계획도 수립했다. 전시컨벤션센터의 가동률은 첫해 40% 수준을 확보해 매년 5%씩 늘려 2026년에는 65%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한편 재원조달능력은 충분한 것으로 분석됐지만 예산의 효율적 사용측면에서 일부 사업비는 지방채 발행으로 가닥을 잡았다. 총 사업비 1678억원 가운데 국비 280억원을 제외한 자체 재원 1398억원 가운데 100억원을 지방채로 충당한다는 것이다. 울산시는 차입방안을 놓고 정부자금, 지방공공자금, 금융기관 자금 등을 검토했고, 이율이 가장 저렴한 2년 거치 3~5년 분할상환의 지방공공자금 방안이 유력시 된다.

최창환기자 cchoi@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