秋, 최고위서 “시도당 공천권 회수 생각해본 적 없다” 재차 설명

▲ 더불어민주당 최재성 정당발전위원장이 23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정당발전위 위원 명단을 발표하고 있다.

‘지방선거 공천문제 별도 논의’로 정리…親文 “늦었지만 다행”

더불어민주당의 혁신기구인 정당발전위원회를 둘러싸고 추미애 대표와 친문(親文·친 문재인) 및 시도당위원장 사이에 불거진 내부 갈등이 23일 일단 봉합됐다.

갈등의 뇌관이었던 내년 지방선거 공천과 관련된 문제는 정발위가 아니라 당헌·당규 규정에 따라 ‘지방선거 기획단’에서 논의하는 것으로 당 최고위원회가 이날 결정한 데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정발위는 지방선거 공천 관련 문제에는 직접 관여하지 않고 당 체질 개선 방안 등 중·장기적인 혁신 방안 마련에 집중하게 된다.

추 대표가 참여한 가운데 나온 민주당 최고위의 이런 결정은 지방선거 문제는 정발위와 별도로 현행 당헌·당규대로 진행돼야 한다는 친문 인사와 시도당위원장들의 요구를 상당 부분 반영한 것이다.

▲ 더불어민주당 최재성 정당발전위원장이 23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정당발전위 위원 명단을 발표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앞서 대표적 친문 인사인 전해철 의원 등 10여 명의 의원은 지난 18일 의원총회에서 추 대표의 정발위 구상에 강력하게 반대하면서 지방선거 준비 절차는 현행 당헌·당규대로 진행할 것을 요구했다.

대부분 친문 인사들인 시도당위원장 9명도 같은 날 회동해 유사한 내용의 건의문을 채택했다.

추 대표는 그동안 이런 반발에 “좋은 약은 입에 쓰다”(19일)며 정발위를 예정대로 강행하겠다는 의지를 보였으나 지난 21일 비공개 최고위에서도 논란이 계속되는 등 당내 갈등이 확산하자 정발위 논의 대상에서 지방선거 공천 문제는 배제하는 방안을 수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관련, 추 대표는 이날 최고위에서 “처음부터 시도당 공천권을 중앙당으로 회수한다는 것은 생각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고 복수의 참석자가 전했다.

추 대표 측 관계자도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애초 정발위는 지방선거 문제가 초점이 아니었는데 선거 얘기가 나와서 대응했던 것”이라면서 “정발위는 당원 중심의 네트워크 정당을 만드는 과정에서 당원권을 어떻게 보장할 것인가가 핵심”이라고 말했다.

이는 정발위의 구성과 활동 목적이 지방선거 공천권이 아니라 당원권 보장에 있는데 오해로 인해 갈등이 빚어졌다는 설명이다.

 

민주당 최고위의 이번 결정에 친문 인사와 시도당위원장 등은 긍정 평가했다.

전해철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늦었지만 다행”이라면서 “당내 현안에 대한 합리적 문제 제기, 건전한 토론 등은 민주적 당 운영을 위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민주당이 이처럼 정발위를 둘러싼 갈등을 조기 봉합한 데는 개혁 입법과 적폐 청산에 ‘올인’해야 하는 문재인 정부 첫 정기국회를 앞두고 당내 분란이 커지는 것에 큰 부담을 느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당내에선 당정청이 한자리에 모이는 25~26일 정기국회 대비 워크숍 전까지는 정발위 상황이 정리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았다.

하지만 앞으로 지방선거 기획단 구성이나 활동 과정에서 추가적인 논란이 생길 여지도 있다.

추 대표가 여전히 ‘시도당 패권’ 문제를 강하게 인식하면서 견제·균형의 원칙을 반영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추 대표는 이날도 최고위에서 시도당의 패권문제를 지적하면서 “견제와 균형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추 대표는 앞서 사고지구당(위원장이 공석인 지역위원회)에 대해서도 중앙당 차원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 바 있다.

나아가 정발위에서도 필요시 지방선거 공천규칙 관련 논의를 진행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관련해 최재성 정치발전위원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지방선거 규정은 기획단에서 논의하지만 필요하면 정발위도 의견 제안을 할 수 있다”면서 “제한적 제안권이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편 당 중진인 설훈 의원은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추 대표가 서울시장 출마에 뜻을 두고 정발위 논의를 본격화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그렇게 보는 시각이 있다”면서 이번 정발위 논란과 관련해 추 대표의 사과 필요성을 제기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