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경제가 당면한 최대 과제는 주력산업 고도화와 4차산업혁명 시대의 적절한 대응이다. 대량생산 시스템에서 맞춤생산 서비스로 바뀌는 산업구조속 제조업과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이 요구되는 시장 추세에 뒤처진다면 산업 전반이 무너질 수 있기 때문이다. 울산시가 3D프린팅 산업을 기존 주력산업의 성장 모멘텀을 이어갈 전략산업으로 선정, 지난 2015년부터 11개 사업에 1131억원의 예산을 지원하고 있는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시는 지금 국립3D프린팅연구원 설립 등을 통해 R&D기능을 강화, 경쟁력있는 기술확보와 산업 집적화를 통해 3D프린팅산업 메카도시로의 성장을 꿈꾸고 있다. 3D프린팅을 넘어 ‘시간’을 반영해 스스로 조립까지 하는 4D프린팅 연구개발에도 나서 4차산업혁명까지 선도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이다. 문제는 속도다. 미국, 유럽, 일본은 말할 것도 없고, 중국에도 뒤져 있는 국내 3D프린팅산업 현실을 극복, 시장 선점을 위해서는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한 속도전이 요구된다.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공약사업인 국립3D프린팅연구원 설립은 2057억원을 투입해 테크노산단 내 건축연면적 2만㎡ 규모로 짓는 사업이다. 3D 프린팅 정책 개발 및 기획과 함께 원천·상용화 기술을 개발·보급하고 전문인력을 양성하게 된다. 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해야 한다. 최근 울산시는 예비타당성 조사 대응을 위해 연구용역에 나섰다. 내년 9월 완료예정이다. 너무 늦다. 이 속도라면 예비타당성 조사 등 본격적인 정부의 설립 움직임은 그 이후가 될 것이다. 사업의 시급성을 간과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문이다.

울산시는 앞서 지난 6월 국립3D프린팅연구원이 들어설 테크노산단에 미국 최대 상용화 연구기관인 EWI(에디슨접합연구소, Edison Welding Institute) 분원을 유치한데 이어 영국 AMRC(Advanced Manufacturing Research Center) 연구소 유치를 가시화하고 있다. 싱가포르 국립3D프린팅연구센터(NAMC) 등 글로벌 연구기관 추가 유치에도 적극 나서는 등 세계 최고의 3D프린팅 연구기관 분원 유치에 힘을 쏟고 있다. 유망 글로벌 기업 이전·유치도 빼놓을 수 없다. 세계 3번째로 주물사 3D프린터를 개발한 (주)센트롤이 내년 2월 울산에 연구개발 및 생산라인을 착공하고, 국내 최초 3D프린터 개발업체인 (주)캐리마도 내년 본사를 울산으로 이전한다. 3D프린팅산업의 마중물격인 국립3D프린팅연구원 울산 설립도 이에 발맞춰 속도를 더 높였으면 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