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정혜 경제부 기자

지난 한 주간 계란이 온 나라를 떠들썩하게 했다. 시중에 유통된 일부 계란에서 기준치 이상의 살충제 성분이 검출됐고, 안전할 것이라 믿었던 친환경 인증 농장에서까지 부적합 계란이 대거 나오면서 먹거리 안전에 적신호가 켜졌다.

울산도 예외는 아니었다. 울주군의 산란계 농장 두 곳에서 비펜트린이 기준치 이상 검출돼 유통 전 단계에서 계란 90만 개를 전량 폐기했다. 닭에는 사용이 금지된 피프로닐이 검출된 경주 모화의 친환경 농장 계란은 대형마트를 중심으로 울산에 대량 유통됐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이번에는 생리대에서 발암물질의 일종인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검출됐다. 유럽산 소시지는 E형 간염 바이러스의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판매가 중단됐다. 식약처는 시중에 유통됐거나 유통 중인 생리대를 전수 조사하는 한편, 유럽산 비가열 식육가공식품도 수거해 검사하고, 결과가 나올 때까지는 판매를 중단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계란으로 시작된 소비자들의 불안과 불신은 이제 가히 케미컬 포비아(화학물질 공포증)로까지 확산할 조짐이다. 특히 먹거리 등 일상적으로 먹고 쓰는 제품은 가족의 건강과 직결된 문제다 보니 소비자들은 더욱 예민할 수밖에 없다.

원인은 주무 부처의 부실한 안전 관리다. 특히나 계란은 정부의 부실한 관리 감독과 인증 절차로 소비자들이 안전할 것이라고 믿었던 친환경 농장에서 검출 사례가 더 많이 나오는 등 관리의 구멍을 여실히 드러냈다. 생리대는 지금껏 여러 단체에서 유해물질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지만, 식약처의 검사 항목에서는 빈틈이 그대로 드러났다.

살충제 계란으로 시작돼 생리대에까지 번지고 있는 케미컬 포비아를 이제는 멈춰야 한다. 조사를 통해 문제의 원인과 책임소지를 밝히는 것도 필요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앞으로의 예방과 관리다. 소비자들의 불안과 공포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계란 등 먹거리를 비롯해 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품목들에 대한 안전검사를 제대로 실시하고,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관련 기준의 재정비도 필수다. 정부가 안전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에 눈높이를 맞춰, 우려와 불신을 회복하길 기대한다.

서정혜 경제부 기자 sjh3783@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