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24일 민영화 철회를 요구하며 파업에 들어갔던 발전노조의 파업이 37일만인 2일 낮 극적으로 타결됐다. 이로써 발전노조 파업을 지원하는 민주노총의 2차 연대 총파업이 즉각 철회 됐으며 노조원들도 곧 업무에 복귀 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노총의 2차 연대 총파업이 울산을 비롯한 전국에서 파업 회오리가 일 것을 우려했던 정부는 공권력 투입과 발전노조원 무더기 해고 등 강경 대응키로 했으나 총파업이 철회 됨으로써 극적으로 충돌을 면할수 있게 됐다.

 특히 울산지역의 경우 현대중공업과 울산대 병원은 간부 중심으로 총파업에 동참하고 나머지 조합원들은 연.월차휴가를 통해 집회에 참석키로 했으며 민주노총 울산지역본부는 이들 파업동참 조합들이 참가한 가운데 태화강 둔치에서 결의대회를 갖고 가두행진을 벌일 계획까지 했던 것이다. 이렇게 민주노총의 총파업 돌입을 앞두고 노정이 극적으로 협상을 타결지은 것은 무엇보다 노정 모두 발전노조의 파업 장기화와 이에 따른 총파업, 명동성당에 대한 공권력 투입, 발전노조원 무더기 해고 등에 부담을 느꼈기 때문이라고 보여진다.

 사실 파업 초기만 하더라도 상급단체인 민주노총과 공공연맹은 사상 초유의 철도,가스,발전 등 3대 공기업 노조의 동시 파업을 이끌어낸데다 곧바로 노동계의 연대 파업을 성공적으로 치렀다는 고무적인 평가를 받았다. 또한 파업 과정에서 사회 각계 인사와 사회단체, 교수 등의 지지 여론을 받아내는 등 공기업 민영화 문제를 공론화시키는데 성공한 것으로 비쳐졌다. 또한 범정부적인 압박 작전을 편 것도 노동계를 보다 적극적으로 협상 테이블로 끌어낸 것으로 풀이된다.

 법과 원칙에 따른 대응을 강조해온 정부로서는 월드컵 등 국제행사와 선거 등을 앞두고 "불법 파업에 대해서는 타협 없이 원칙대로 대응한다"는 인식을 노동계에 심어줌으로써 향후 노사관계를 이끌어 가는데 힘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노조원들의 열기를 뒤로한채 파업을 접은 민주노총은 최대한 조합원들의 피해를 줄여야 하는 지상과제를 떠안게 돼 향후 대정부 투쟁과 압박을 통한 문제 해결에 나설 수 밖에 없다. 정부는 앞으로 예방적 노사관계 구축에 적극 힘써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